서울 대형마트의 에어컨 판매 매장 [출처=연합]
서울 대형마트의 에어컨 판매 매장 [출처=연합]

이른 무더위로 냉방 수요가 급증한 지난 7월 국내 주택용 전기 사용량이 작년 같은 달보다 11% 가까이 늘면서 역대 7월 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용량 증가는 전기요금 부담으로 이어졌다. 누진제 영향으로 실제 요금 증가 폭은 17%를 넘었다.

29일 한국전력에 따르면 7월 주택용 전기 판매량은 8304GWh(기가와트시)로 전년 동월 대비 10.9% 증가했다. 이는 전체 전기 판매량 증가율(3.7%)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산업용 전력은 0.2% 줄었고 상업시설 등이 포함된 일반용 전력은 6.3% 증가에 그쳤다.

전력 사용 증가는 이례적으로 일찍 찾아온 폭염의 영향이 컸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7.1도로 1994년 이후 가장 높았다. 평균 최고기온은 32.0도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구조적 요인도 뚜렷하다. 소득 수준 향상과 생활 전기화 추세가 맞물리면서 주택용 전기 수요는 장기적으로 늘고 있다. 실제 한전의 연간 주택용 전기 판매량은 2018년 7만GWh, 2022년 8만GWh를 돌파했다. 지난해에는 8만6989GWh까지 증가했다. 올해는 9만GWh를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제는 전기요금 부담이다. 7월 주택용 전기 판매 수입은 1조3508억원으로 사용량 증가율(10.9%)보다 훨씬 높은 17.4% 증가했다. 이는 누진제 적용으로 요금이 급격히 뛰었기 때문이다. 현재 여름철(7~8월) 주택용 전기는 △300kWh 이하(120원/kWh) △300~450kWh(214.6원) △450kWh 초과(307.3원) 등 3단계 누진제가 적용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