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공정 모습 [출처=포스코]](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2505_700061_1856.jpeg)
국내 철강업계가 탄소배출 규제로 인한 원가 상승 부담을 받는다.
17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내년부터 2030년까지 ‘제4차 배출권거래제(K-ETS)’를 시행한다. 이번 계획기간 동안 기업별 탄소배출 허용 총량이 단계적으로 축소된다.
연평균 배출허용총량은 5억746만톤으로 책정됐다. 이는 3차 계획기간보다 16.8% 줄어든 규모다. 여기에 탄소배출권의 유상할당 비율도 현행 10%에서 15%로 상향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배출 허용량을 초과할 경우 시장에서 추가 배출권을 구매해야 한다. 그러나 총량 자체가 줄어드는 만큼 가격 상승은 불가피하다.
현재 탄소배출권 가격은 톤당 1만~1만1000원 수준이다. 나무이엔알은 ▲2026년 2만8680원 ▲2027년 3만4211원 ▲2028년 4만1152원 ▲2029년 4만7642원 ▲2030년 5만3699원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 빅2의 초과 배출량은 약 2000만톤에 달한다. 내년 전망치인 톤당 2만8680원을 적용하면 두 회사의 탄소배출권 비용만 약 5736억원에 이른다. 여기에 배출총량 축소와 유상비율 확대를 감안하면 부담은 이보다 더 커진다.
문제는 이미 철강사들의 수익성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해 영업이익 2조1740억원으로 전년 대비 38.4% 감소했다. 현대제철 역시 1595억원으로 80% 가까이 줄었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는 포스코홀딩스의 영업이익률이 3.3%, 현대제철은 0.7%에 그쳤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EU의 관세 인상에 이어 국내에서도 배출권 유상비율이 높아지면 이중삼중의 규제 압박이 된다”며 “철강산업은 단기간에 탈탄소를 이루기 어려운 구조라 정부 차원의 완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