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대표 [출처= 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3042_700667_1052.jpeg)
KT가 해킹 및 무단 소액결제 사태로 피해를 입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위약금 면제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피해자 보호를 위한 첫 공식 보상책으로, 이용자 신뢰 회복에 나선 모습이다.
김영섭 KT 대표는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가 진행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국정감사에서 “무단 소액결제 및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위약금 면제 고지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KT는 그동안 “민관 합동 조사단의 최종 조사 결과를 본 뒤 위약금 면제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국감에서 피해자들의 실질적 고통이 거론되자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박충권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국감에서 “KT 해킹 사태로 피해를 본 고객들이 불안감에 수십만 원대 위약금을 부담하면서까지 해지를 선택하고 있다”며 “이용자 보호를 위한 책임 있는 결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KT가 밝힌 이번 위약금 면제 대상은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와 불법 기지국(펨토셀) 접속으로 피해를 본 이용자로 한정됐다. 전체 이용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 여부는 민관 합동 조사단의 조사 결과 이후에 결정할 방침이다.
KT는 이번 해킹 사태와 관련해 지난 8월부터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잇따르면서 약 2만여 명의 이용자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후 경찰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관계 기관이 조사에 착수했으며, 정부는 추가 피해 방지 대책을 마련 중이다.
김 대표는 책임론과 관련한 질의에 “(사태가) 수습되면 책임질 것”이라며 “사퇴를 포함한 책임을 지겠다”고 말했다. 그는 앞서도 “고객 불안과 사회적 논란을 초래한 데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재발 방지를 약속한 바 있다.
이번 조치로 KT는 최소한의 피해보상 절차를 시작했지만, 해킹 원인 규명과 피해 규모 확정, 보안 시스템 강화 등 근본적 신뢰 회복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