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해킹사태와 관련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출처=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10/1683045_700671_2549.jpg)
김영섭 KT 대표가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해킹과 개인정보 유출 문제로 집중 추궁을 받았다.
김 대표는 피해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 고지 등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히고, 사태 수습 후 책임을 지겠다고 전했다.
김 대표는 국회 과방위가 진행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국정감사에서 "무단 소액결제 및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위약금 면제 고지 등 관련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KT는 그동안 "민관 합동 조사단의 최종 조사 결과를 본 뒤 위약금 면제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국감에서 피해자들의 실질적 고통이 거론되자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국감장에서 여야 의원들은 피해 확대와 책임 소재를 거듭 문제 삼았다. 황정아 민주당 의원은 "조사할 때마다 피해 상황이 늘어나고 있다. 이제 그만 그 자리에서 내려와라"며 "거짓말로 본인 임기를 늘릴 생각만 하고 있느냐"고 질타했다. 같은 당 소속 김우영 의원도 "통신사업자 침해 사고에 대한 책임은 대표가 갖고 있는 것 아니냐"며 사퇴 압박을 이어갔다.
김 대표는 여당 의원들의 사퇴 압박에 "합리적이고 마땅한 수준에서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제가 지금 우선적으로 해야 될 일은 사태 수습을 하는 것"이라며 "일정 수준 수습되고 나면, 최고경영자는 총체적 경영 책임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합리적인, 마땅한 수준의 책임을 지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위약금 면제 방안도 핵심 쟁점이었다. 황 의원이 전체 고객 대상 면제 계획을 묻자, 김 대표는 "전체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는 조사 결과에서 드러나는 피해 내용을 보고 판단하겠다"고 답변했다.
회사 측은 피해 유형과 범위를 조사단 결과를 통해 최종 판단하겠다는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금전적 보상과 추가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구체안을 제시했다. 김 대표는 "개인정보가 유출된 고객들에게는 이미 금전 피해를 100% 보상하고 있다"고 말하며 유심 교체·단말기 교체 지원, 보험 가입 등 추가 보상책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조치는 피해 접수 상황과 조사 결과를 반영해 단계적으로 시행될 전망이다.
과방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김영섭 대표를 국정감사 증인으로 다시 부르기로 의결했다. 위원회는 김 대표를 오는 29∼30일 종합감사 증인으로 추가 채택해, 해킹 사태의 사실관계 축소·은폐 여부와 증언 진위를 따져 묻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