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채 에코프로 창업주가 창립 27주년을 맞아 충북 오창 본사에서 열린 창립기념식에서 기념사를 발표하고 있다. [출처=에코프로]
이동채 에코프로 창업주가 창립 27주년을 맞아 충북 오창 본사에서 열린 창립기념식에서 기념사를 발표하고 있다. [출처=에코프로]

에코프로가 창립 27주년을 맞아 창업 초기의 열정과 도전 정신을 되새기며 국가대표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 의지를 다졌다.

국내 기업 최초로 헝가리 데브레첸에 양극재 생산공장을 세운 데 이어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소 투자 등 해외 프로젝트를 본격화하며 사명감을 강화하고 있다.

에코프로는 22일 충북 오창 본사에서 열린 창립 27주년 기념식에서 오창·포항을 비롯해 헝가리·인도네시아·캐나다로 이어지는 글로벌 생산체제 구축을 통해 국가 대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이동채 창업주는 기념사에서 "지난 27년이 도전과 개척의 역사였다면, 다가올 27년은 혁신과 글로벌 리더십의 역사가 될 것"이라며 "세계가 인정하는 친환경 이차전지 선도기업으로 도약하자"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국가대표라는 책임감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며 임직원들에게 자부심을 주문했다.

에코프로는 지주사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광산 투자에 나서며 제련업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 2022년부터 술라웨시섬 IMIP(인도네시아 모로왈리 산업단지) 내 △QMB(지분 9%) △메이밍(9%) △ESG(10%) △그린에코니켈(38%) 등 4개 제련소에 총 7000억 원을 투자했다.

이를 통해 니켈 중간재인 MHP(Mixed Hydroxide Precipitate) 안정적 수급이 가능해졌으며 제련소 자회사 편입 시 연간 약 1800억 원 수준의 이익이 기대된다.

또 IGIP(인터내셔널 그린 산업단지)에서 인도네시아 국영기업 PT Vale Indonesia 등과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2단계 프로젝트도 추진 중이다.

한편 에코프로비엠이 건설한 헝가리 데브레첸 공장은 최근 시험가동에 돌입했다. 총 44만㎡ 규모의 이 공장은 데브레첸 남부 산업단지에 위치해 있다. 국내 양극재 기업 중 최초의 유럽 현지 공장으로 연간 5만4000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이 창업주는 "27년 전 서울 서초동의 10평 남짓한 사무실에서 한 명의 직원과 시작한 에코프로가 세계로 뻗어가고 있다"며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 도전의 에너지가 위기를 기회로 바꿀 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코프로는 1998년 이동채 창업주가 교토의정서 체결(1997년)을 계기로 “환경산업이 미래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확신 아래 설립됐다. 초창기에는 주차장 컨테이너를 연구실로 삼아 부직포와 접착제를 이용해 케미컬필터를 손수 제작하는 등 녹록치 않은 환경 속에서도 실험과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

이 창업주는 "환경사업은 인류가 존재하는 한 성장할 수밖에 없는 절대 산업”이라며 “무모한 도전과 열정이 혁신을 낳았다"고 회고했다.

그 결과 나노카본 탈취제의 상용화, 케미컬필터 및 온실가스 저감장치의 국산화 등 굵직한 성과를 냈다. 2004년에는 제일모직과 ‘초고용량 이차전지용 양극소재 개발’ 국책과제에 참여하며 본격적으로 이차전지 산업에 뛰어들었다. 연구소는 기술 선도에, 공장은 불량률 개선에, 영업팀은 고객 확보에 전력을 다했다. 그 결과 2013년 일본 소니에 양극재를 공급하며 기술력과 품질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이 창업주는 "우리는 개척자의 길을 걸어왔다"며 "누구도 가지 않은 길을 열고 무에서 유를 창조한 것이 에코프로의 역사"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위기를 기회로 바꾼 힘은 우리만의 기술력”이라며 “초격차 기술과 원가 경쟁력으로 시장에서 압도적 위치를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창업주는 "충북 오창 본사, 포항, 헝가리 데브레첸 등 우리가 뿌리를 내린 모든 지역이 에코프로의 성장 기반이며, 그 지역의 발전이 곧 에코프로의 성장"이라고 강조했다. 에코프로는 지역 인재 채용률이 약 90%에 달하며, 지역 상생형 고용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창립기념식에서는 변화와 혁신, 도전, 신뢰라는 핵심가치를 실천한 임직원에 대한 시상도 이뤄졌다. ‘올해의 에코프로인(人)’에는 경영관리본부 조장훈 이사와 에코프로이엠 품질보증팀 이순렬 책임이 선정됐다. 조 이사는 경영관리 선진화 방안을 발굴한 공로를, 이 책임은 공정품질 개선 및 품질보증 향상 기여를 인정받았다.

이 창업주는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100년 기업을 향해, 창립 초기의 도전정신으로 다시 나아가자"고 독려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