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감담회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 등에 대해 답변하고 있다. [출처=류용환 기자]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감담회에서 이창용 한은 총재가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 등에 대해 답변하고 있다. [출처=류용환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3일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을 유지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이창용 한은 총재는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정책으로 인해 가계부채에 대한 위험은 상당 부분 사라졌다는 평가를 내렸다.

추가 금리 인하 시기에 대해선 여러 리스크를 점검한 뒤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는데 환율 상승 요인으로 한미 관세 협상, 일본 신임 총리의 확장 재정 가능성, 미·중 갈등 등을 꼽았다.

이날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총재는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2.5%의 기준금리를 동결한 이유에 대해 "국내 경기가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고 향후 성장경로에도 상·하방 요인이 모두 잠재해 있어 여러 리스크 요인들의 전개 상황을 좀 더 점검한 후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등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인하를 했을 경우에는 오히려 투자 비용이나 이런 것이 줄어들어서 부동산 가격을 가속화시킬 위험이 있고, 8월 이후 동결을 함으로써 우리가 인하 사이클에는 있지만 인하 속도와 폭을 좀 천천히 가져가겠구나 하는 그런 기대를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금통위원 6명 중 신성환 위원은 기준금리를 연 2.25%로 0.25%포인트(p) 인하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홀로 제시했다.

신 위원은 "주택시장 관련 금융안정 상황이 우려되지만, 경제성장률(GDP) 갭률이 상당 폭 마이너스(-) 수준을 지속하는 현 상황에서 가급적 빠른 시점에 금리를 인하하고 경기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지켜보면서 금리 결정을 이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창용 총재는 "부동산 자산 가격 상승은 우리나라 성장률이라든지 잠재성장률을 갉아먹는 쪽으로 간다고 생각한다"며 "부동산 시장에 대한 구조개혁, 이런 것들은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놓은 부동산 정책의 영향으로 가계부채 위험이 사라진 것으로 평가, 금리 결정과 관련해 부동산 가격 외에도 여러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 총재는 "이번 (정부의) 새로운 정책 때문에 가계부채에 대한 위험은 많이 사라진 것 같다"며 "가계부채는 위험이 많이 사라진 상태인데 금리를 부동산 가격만 보는 것이 아니라 경기도 봐야 되는, 종합적으로 봐야 되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동산 가격은 기본적으로 정부 정책을 하는데 우리가 통화정책으로 인해서 부동산 가격을 오히려 부추기는 그런 쪽으로 가지 않는 스탠스에서 통화정책을 한다라고 봐주시는게 제일 정확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날 금통위는 금리 동결 요인으로, 환율 변동성도 지목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1420원~1430원대에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이 총재는 "지난 8월 28일 이후 한 달 사이 환율은 35원, 30원 올랐는데 4분의 1은 달러 강세 때문이고 4분의 3은 미·중 갈등으로 생긴 위안화 악화, 일본 새 수상 임명으로 아베노믹스처럼 확장 정책을 한다고 그래서 엔화가 악화되는 것, 우리나라 관세 문제, 3500억달러(대미투자) 조달에 대한 걱정이 묶였다"고 평가했다.

다음 금통위 통화정책방향 회의는 다음달 27일 열린다. 이날 회의에서는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방향이 된다.

11월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이 총재는 "(금리 인하를) 한번도 안할 거냐, 거기까지 판단하기에는 여러 요인을 봐야 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너무 큰 거 같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