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연합]
[출처= 연합]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미국과 인공지능(AI) 산업 가속화 및 차세대 통신, 바이오, 양자, 우주 등 핵심기술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내용의 ‘한미 기술번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에 열린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 성과 중 하나로 꼽힌다.

이번 MOU에는 ‘AI 응용 및 혁신 가속화’와 ‘신뢰할 수 있는 기술 리더십’이라는 두 가지 축이 담겼다. 양국은 AI 전 분야에 걸쳐 혁신 친화적 정책 프레임워크를 공동 개발하고, 신뢰 가능한 기술 수출과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AI 데이터셋 공동 개발, 안전한 AI 혁신 촉진, 글로벌 AI 표준 정립 등을 함께 추진한다.

특히 양국은 아시아와 기타 지역을 포함한 역내에서 공동 AI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가 주도하는 ‘함께 육성하는 미래’ 글로벌 이니셔티브에도 참여해 디지털 시대의 아동 교육, 혁신기술 인재 양성 등 미래 세대 육성 프로그램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핵심기술 분야 협력도 한층 강화된다. 통신 분야에서는 6세대 이동통신(6G) 공동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바이오 분야에서는 제약·바이오 공급망 안정화 방안을 모색한다. 양자 분야는 기초연구와 인력교류를 확대하고, 우주 분야에서는 미국의 ‘아르테미스 프로그램’과 연계해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및 상업용 저궤도 우주정거장 개발 파트너십을 강화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협약을 통해 과학기술 안보와 인재 교류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경제·산업·안보 측면에서 한미 간 기술동맹을 공고히 하고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체결식은 경주 APEC 현장에서 열렸으며, 한국 측에서는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이, 미국 측에서는 마이클 크라치오스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장이 참석했다. 두 인사는 체결 직후 양자 면담을 통해 MOU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논의했다.

하정우 수석은 “양국은 기술의 속도보다 방향을, 통제보다 신뢰를, 경쟁보다 협력을 선택했다”며 “민간 중심의 협력을 강화해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협약은 사람 중심의 포용적 AI를 기반으로 양국이 함께 기술 주권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라며 “특히 AI 연구개발 및 AI 풀스택 수출 협력은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클 크라치오스 실장은 “이번 협정은 양국 과학기술 협력의 담대한 진전”이라며 “한국은 신뢰할 수 있는 기술 파트너이자, 미국 AI 생태계 발전을 함께 이끌어갈 핵심 동반자”라고 평가했다. 그는 APEC CEO 서밋 특별 세션에서도 “미국은 단순히 기술을 수출하는 것이 아니라, 각국 시장에 맞는 규제 시스템을 함께 설계해 신흥 기술의 혜택이 전 세계에 돌아가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양국은 내년 워싱턴DC에서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열고, 이번 MOU의 후속 조치 및 구체적 협력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겸 부총리는 “이번 MOU는 양국 미래 세대의 번영을 위한 상징적인 협력”이라며 “블랙록, 오픈AI와의 AI 생태계 협력 MOU에 이어 이번 합의로 한미 간 과학기술 교류와 투자가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APEC #6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