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앤에프 대구 구지 3공장. [출처=엘앤에프]
엘앤에프 대구 구지 3공장. [출처=엘앤에프]

글로벌 배터리 시장의 중심축이 LFP(리튬인산철) 양극재로 급격히 이동하고 있다. 가격 경쟁력과 안정성, 긴 수명이라는 강점을 앞세워 전기차(EV)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빠르게 장악 중이다. 이러한 흐름 속 엘앤에프가 국내 최초로 LFP 양극재 양산에 나서며 ‘탈중국’ 공급망의 실질적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LFP, 글로벌 배터리 시장 새 주류로 부상

12일 배터리업계 및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8월 글로벌 전기차용 LFP 양극재 사용량은 90만 2000톤으로 전년 대비 65.7% 급증했다. 점유율도 59%로 삼원계(NCM)를 제치며 시장의 주류로 올라섰다. 이는 중저가 EV 확산과 가격 경쟁 심화가 이끈 구조적 변화로 풀이된다.

LFP 배터리는 '올리빈(olivine)' 구조를 기반으로 열적·화학적 안정성이 높고, 철·인 등 원재료가 풍부해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다. 특히 긴 수명과 높은 안전성 덕분에 AI 데이터센터 등에서 수요가 폭증 중인 ESS 시장의 핵심으로 부상했다.

미국 ESS 시장은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의 세액공제 유지와 빅테크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로 고성장이 예상된다. BNEF는 2030년까지 시장 규모가 485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동시에 미국 정부의 중국산 배터리 관세 부과 및 보조금 제한 조치로, IRA 요건을 충족하는 한국산 LFP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 '탈(脫)중국' 대안 부상

현재 LFP 양극재 생산의 90% 이상이 중국에 집중돼 있다. 중국 정부가 배터리 소재의 수출 통제를 예고한 가운데, 미국은 2025년부터 IRA를 통해 중국산 소재를 공급망에서 제외한다. EU 역시 핵심 원자재의 자급화 정책을 강화 중이다. 이에 따라 품질이 검증된 프리미엄 LFP 확보가 글로벌 완성차의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엘앤에프는 올해를 기점으로 '돌파' 전략을 내세워 LFP 양극재 사업을 본격화했다. 전담 법인 '엘앤에프플러스'를 설립하고 3382억 원을 투자해 연 6만 톤 규모의 생산능력(CAPA)을 확보한다. 지난 8월 착공해 2026년 상반기 준공,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 중이다.

엘앤에프 LFP의 강점은 고밀도 기술력이다. 일반 LFP의 밀도가 2.2~2.4g/cc 수준인 반면, 엘앤에프는 2.6g/cc 개발에 성공했으며 내년에는 2.7g/cc급 초고밀도 제품 양산을 목표로 한다.

입자 미세화, 전구체 합성 최적화, 탄소 코팅 균일화 등으로 에너지 밀도를 15~20% 향상시켜 삼원계 미드니켈 제품에 근접한 효율을 확보했다. 현재 연 100톤 규모의 파일럿 라인에서 제품을 출하 중이며, 주요 고객사의 테스트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SK온 등과 협력 확대… 자본시장 신뢰도 입증

엘앤에프는 사업 본격화에 앞서 국내외 주요 고객사와 전략적 협력을 강화했다. 5월에는 국내 배터리 셀 제조사와 LFP 배터리 공급 활성화 MOU를 체결했고, 7월에는 SK온과 북미 LFP 양극재 공급 협약을 맺었다.

자본시장에서도 신뢰를 입증했다. 지난 9월 진행된 신주인수권부사채(BW) 공모에는 2000억 원 모집에 10조 3362억 원이 몰리며 51.89대 1 경쟁률을 기록했다. 국내 BW 공모 역사상 최대 규모다. 이 중 약 2000억 원은 LFP 신규 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엘앤에프의 LFP 진출은 제품 다변화를 넘어 산업 구조 전환기에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전략적 포석이다. NCM과 LFP를 아우르는 투트랙 포트폴리오로 시장 대응력을 높이고, 글로벌 공급망 안정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권혁원 엘앤에프 공정개발연구소장은 "LFP 국산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국내 유일의 양산 체계를 기반으로 K-배터리가 글로벌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엘앤에프 관계자는 "내년 하반기 연 3만 톤 양산을 시작으로, 2027년 6만 톤까지 확대하며 시장 수요에 맞춰 증설을 이어갈 방침"이라며 "글로벌 LFP 시장 성장과 탈중국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기술력과 CAPA를 앞세워 국산 LFP의 새 기준을 세워갈 전망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