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케이뱅크]
[출처=케이뱅크]

케이뱅크는 올해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 1034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15.5% 감소한 것으로, 3분기 당기순이익은 19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1% 줄었다.

3분기 이자이익은 111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늘었고, 비이자이익은 90.8% 증가한 229억원을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MMF(머니마켓펀드) 등 운용 수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고, 가상자산 거래 활성화에 따라 펌뱅킹 수수료가 늘었다"며 "대출비교 서비스와 플랫폼 광고 수익도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지속적인 아이티(IT) 투자 확대와 외형 성장을 위한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일반관리비가 늘면서 3분기 별도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3분기 말 수신 잔액은 30조4000억원, 여신 잔액은 17조9000억원으로 작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38.5%, 10.3% 증가했다.

늘어난 여신 잔액은 요구불예금이 견인했다. 파킹통장 ‘플러스박스’는 연 최대 2.2% 금리를 바탕으로 잔액이 전년 동기 약 7조원에서 12조원으로 5조원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라 개인 수신 중 요구불예금 비중은 65.6%로 늘었다. 

여신 잔액은 가계대출 관리 기조 속에도 기업대출 중심으로 성장을 이어갔다. 케이뱅크의 개인사업자 대출 누적공급액은 올해 9월 3조원을 돌파, 3분기 말 기업대출 잔액은 1조93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1% 급증했다. 

3분기 연체율은 0.56%로 직전 분기(0.59%)보다 낮아졌다. 고정이하여신비율(0.51%→0.54%)은 상승했다.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5.01%를 기록했고, 순이자마진은 1.38%로 전분기(1.36%) 대비 개선됐다.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이어갔다고 평가한 케이뱅크는 기업대출 확대, 인공지능(AI) 전환, 디지털자산 리더십 강화 등을 통해 성장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기업대출 부문에서는 부동산담보대출 담보종류 확대와 보증대출 채널 다변화를 추진하고, 향후 정부 법제화에 맞춰 스테이블코인 사업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며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AI 앱 번역’과 ‘AI 상담 Assistant’를 통해 외국인 고객 접근성과 상담 품질을 높여 고객 저변을 확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기업대출 중심의 외형 성장, 1500만 고객 확보, 건전성 개선이라는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둔 케이뱅크는 생산적 금융 실천과 디지털자산 혁신, AI 전환을 통해 성장 속도를 더욱 높여가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