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 [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7244_705454_3454.jpg)
제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한 핵심 해법으로 인공지능(AI) 전환이 부상했지만, 기업 현장에서는 인력 부족과 자금 부담, 성과에 대한 불확실성이라는 ‘삼중고’에 발목 잡혀 도입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8일 발표한 ‘K-성장 시리즈: 기업의 AI 전환 실태와 개선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504개 제조기업 가운데 82.3%가 “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AI 활용률은 4.2%에 그쳐 대기업(49.2%)과 큰 격차를 보였다.
AI 도입의 가장 큰 걸림돌은 비용이었다. 전체 기업의 73.6%가 “AI 투자 부담이 크다”고 응답했으며, 중소기업은 79.7%로 대기업(57.1%)보다 훨씬 높았다.
AI 전문 인력을 확보한 기업도 드물었다. 응답 기업의 80.7%가 “전문 인력이 없다”고 밝혔고, 인재 충원 방식에 대해서도 82.1%가 “별도 충원하지 않는다”고 했다. 내부 교육으로 전환한다는 응답은 14.5%, 신규 채용은 3.4%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AI 인재는 약 2만1000명으로, 중국(41만1000명), 인도(19만5000명), 미국(12만명)과 비교해 현격히 부족하다”며 “그마저도 해외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스탠퍼드대 휴먼센터드AI연구소(HAI)에 따르면, 한국의 AI 인재 순이동(Net Flows)은 -0.36으로 순유출국에 해당한다.
AI 전환의 효과에 대한 회의감도 존재한다. 응답 기업의 60.6%는 “AI 도입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답해, “효과가 클 것”(39.4%)이라는 긍정적 전망을 앞질렀다. 보고서는 “제조업은 AI 전환에 상당한 자금과 인력이 투입돼야 하는 만큼, 투자 대비 실효성에 대한 우려가 클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한상의는 기업 역량에 맞춘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를 이미 활용 중인 기업에는 자율성이 보장된 지원이, 도입률이 낮은 기업에는 컨설팅·기술 지원·현장 교육 등 단계별 지원이 적합하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AI 팩토리, 제조 AI센터 등 정부의 실증 사업을 더욱 확대하고 가시적 성과를 조기에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지금은 AI에 대한 장밋빛 설계보다 현장의 데이터 축적과 실질적 활용, 인재 영입이 먼저”라며 “과감한 지원과 규제 혁신을 아우르는 ‘메가 샌드박스’ 전략이 병행돼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