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접경지역 재생에너지 확대ㆍ송전망 혁신 방안 논의 위해 파주 방문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가 19일 파주시 일대를 방문해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 후보지를 점검하고 기후·평화·에너지 정책의 연계 방안을 논의했다. [출처=이비엔]](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7389_705642_5724.jpg)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가 19일 파주시 일대를 방문해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 후보지를 점검하고 기후·평화·에너지 정책의 연계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현장 방문에는 안호영 기후노동위원회 위원장과 김주영 의원(더불어민주당), 김형동 의원(국민의힘) 등 간사진을 비롯해 강득구·김태선·박정·박지혜·박해철·박홍배·이용우·이종배·김소희·김위상·윤상현·허종식·정혜경·서왕진 의원이 참석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실장, 한국전력 부사장, 파주시장 등 정부 관계자들도 동행했다.
위원회는 판문점과 임진각, 도라전망대 등 한반도 평화의 상징적 공간을 찾은 뒤 캠프 그리브스 등지를 둘러보며 접경지역의 에너지 인프라 구축 가능성을 검토했다. 이번 방문은 올해 국정감사에서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 구축 필요성을 제기해온 박정 의원(경기 파주을)의 제안으로 성사됐다.
박정 의원은 국감에서 경기북부 접경지역이 민통선 북상 가능 구역을 포함하면 최대 1800㎢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미개발부지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지역을 활용하면 대한민국 재생에너지·송전망 혁신의 중심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기존 남쪽 중심의 전력망 구조로는 AI 시대 전력 수요와 재생에너지 확대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을 정부와 한국전력에 지속적으로 주장해왔다고 전했다.
정부는 박정 의원의 제안에 적극 공감하며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 사업을 국가적 의제로 끌어올리기 위한 논의를 시작했다. 기후부는 이번 예산심의 과정에서 내년부터 해당 사업을 예산에 반영해 본격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정 의원은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는 이재명 정부의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와 함께 우리나라 재생에너지의 두 개 큰 축을 만드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랜 기간 국가 안보를 위해 희생해온 접경지역 주민에 대한 특별한 보상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는 기후위기 극복과 한반도 평화 정착이라는 두 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는 점에서 평화·기후 에너지고속도로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설명했다.
박정 의원은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가 구축되면 AI 시대 수도권 전력망 공급뿐만 아니라 남북관계 진전으로 개성공단이 재개될 경우 개성공단 전력공급원 역할도 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현장 방문을 계기로 국회 해당 상임위와 정부가 경기북부 에너지고속도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사업 현실화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