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단지. [출처=EBN]](https://cdn.ebn.co.kr/news/photo/202511/1687741_706065_359.jpg)
토지거래허가제 시행 이후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가 한 달여 만에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직전과 비교하면 거래량이 90% 이상 줄어들며 '거래절벽'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만, 표면적 통계와 달리 실제 시장 내부 분위기는 다르다는 분석도 나온다. 각 자치구별로 토지거래 허가 신청이 수백 건씩 누적돼, 단순히 거래가 줄어든 것으로만 해석하긴 어렵다는 것이다.
전문가는 "표면적인 통계(신고 건수)만 보면 거래절벽처럼 보이지만, 실제 시장 안에서는 아파트를 사려고 허가를 신청한 사람들이 여전히 많다. 거래가 실제로 감소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21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11월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522건으로 집계됐다. 본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 신고해야 하는 점을 고려해도 전월 8159건 대비 93.6% 급감한 수치다.
구별로는 △송파구(112건) △강남구(67건) △서초구(51건) 3곳만 50건을 넘었다. 이외 22개 구 중 △강북구(5건) △관악구(7건) △영등포구(2건) 등 9개 구는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대출 규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지역마저 거래가 극도로 줄었다.
그러나 온라인 민원 접수 시스템 '새올전자민원창구' 자료를 취합한 결과는 다른 흐름이었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토지거래허가를 기다리는 신청 건수는 19일 기준 총 4071건으로 확인됐다.
신고 건수가 한 자릿수였던 강북구(108건), 관악구(153건), 영등포구(163건)는 물론 이달 실거래 신고가 12건에 불과한 노원구도 355건의 거래가 허가 심사를 대기하고 있다.
자치구별로는 송파구가 367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노원구, 성북구 순이었다. 강서구, 구로구, 관악구, 도봉구 등 서울 외곽 지역에서도 세 자릿수 신청이 접수됐다. 실수요 비중이 높은 중저가·외곽 단지를 중심으로 '허가 대기 수요'가 대량으로 포착된 것이다.
전문가들은 "표면적으로는 거래절벽이지만, 실제 시장은 규제에 따른 신고 시차가 크게 확대되며 통계적 착시가 발생하고 있다"며 "단기적 거래 감소를 시장 위축으로 단정하기보다는 허가 승인 시점 이후의 거래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