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올해 서울 집값이 급등세를 보이면서 주택담보대출에서도 ‘서울 쏠림’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현열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3일 발표한 ‘최근 지역별·연령별 신규 주택담보대출 현황’ 보고서에서 올해 2분기 말 기준 서울의 평균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전년 동기 대비 11.5% 늘었다고 밝혔다. 경기·인천을 포함한 타 지역 증가율(5.2∼6.5%)의 약 두 배 수준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주담대 잔액 증가율 격차는 지난해부터 벌어지기 시작했고, 특히 지난해 4분기 이후에는 서울의 증가 속도가 경기·인천보다도 더 가팔라졌다.

서울의 잔액 증가 속도가 빨라진 것은 신규 차주의 대출 금액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 컸다. 특히 40대 이하 연령대가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4분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서울에서 주담대를 새로 받은 40대 이하 차주의 차입금액은 전년 대비 평균 8000만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50대 이상 차주의 평균 증가는 1000만원 수준에 그쳤다.

신규 40대 이하 차주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강남 26.9%, 강북 28.6%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고서는 “40대 이하 차주들은 지역을 가리지 않고 서울 내 주택을 매입하기 위해 소득과 LTV(주택담보대출비율) 한도 내에서 최대한 대출을 당겨 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6·27, 10·15 대책 영향으로 3분기부터 지역별 주담대 격차는 다소 완화될 수 있다”면서도 “40대 이하의 서울 선호가 지속될 경우 전월세 시장에서도 지역 격차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