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진료 관련 통계' 화면. [출처=네이버 캡처 ]
네이버 '진료 관련 통계' 화면. [출처=네이버 캡처 ]

네이버에서 125개 질병을 검색하면 환자 수와 성비, 1인당 진료비 등의 정보를 바로 알 수 있게 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네이버와 협업해 질병에 관한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대국민 서비스를 새롭게 시작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국민들이 네이버를 통해 자주 검색하는 관심 질환 중 건보공단 빅데이터로 분석할 수 있는 125개를 우선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이버 검색창에 폐렴을 입력하면 해당 질병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전 국민 의료이용 정보를 토대로 산출된 연령별 환자 수, 성비, 진료비 등을 바로 조회할 수 있다.

환자 수 통계는 지난해 기준으로 건보 가입자 가운데 실제 해당 질병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에서 중복 인원을 제거한 연간 실제 인원수를 산출했다.

진료비 통계는 본인 부담금과 건보 부담금을 합한 총진료비를 기준으로 지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개년도의 연간 진료비 정보를 제공한다.

다만 해당 진료비 통계엔 개별 환자의 중증도나 동반 질환 등의 요인은 반영되지 않는다. 건보공단은 진료비에 영향을 줄 만한 외부 요인을 고려해 상·하위 5%를 제외한 후 평균 및 범위를 산출했다.

총진료비에 이용 형태별 본인부담률(의원급 의료기관 기준 외래 30%, 입원 20%, 중증질환·산정 특례질환은 5∼10%)을 적용하면 본인 부담 규모를 추정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