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동성제약]
[출처=동성제약]

동성제약 최대주주 브랜드리팩터링이 제안한 자체 회생계획안이 법원이 추진하는 유암코(연합자산관리) 중심의 인수합병(M&A) 방식보다 소액주주와 채권자를 더 잘 보호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6일 브랜드리팩터링은 동성제약의 비영업용 부동산(서울 도봉구 방학동 본사 건물 등)을 팔아 약 530억원을 마련하고, 윤진파트너스 등에서 205억원을 무이자로 빌려 총 735억원을 확보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이 돈으로 회생담보권과 회생채권을 모두 현금으로 갚겠다는 구상이다.

이 회생안의 핵심은 주주 지분을 깎거나(감자) 주식을 강제로 바꾸는 출자전환 없이 기존 주주 지분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점이다. “충남 아산공장 같은 핵심 생산시설도 매각 대상에서 제외해 회사의 생산과 영업이 흔들리지 않도록 했다”는 게 브랜드리팩터링 측 설명이다.

브랜드리팩터링 관계자는 “소액주주는 지분 희석 걱정이 없고, 채권자는 현금으로 변제받을 수 있다”며 “자체 회생안이 더 안전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법원과 공동관리인이 검토 중인 유암코 인수 방식은 “대규모 신주 발행이 필요해 기존 주주 지분 가치가 줄어들 위험이 크다”고 짚었다. 또 “외부 투자자 중심의 구조조정이 실제 회생으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고 지적했다.

브랜드리팩터링 측은 “동성제약은 외부 투자 없이도 스스로 회생 가능한 회사”라며 “법원에 회생절차를 끝내고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겠다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현재 법원과 이해관계자들은 두 가지 회생 방식 중 무엇이 더 실행 가능하고, 주주와 채권자를 잘 보호할지 검토 중이다. 최종 결정에 따라 동성제약의 향후 방향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