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중은행 창구 전경ⓒEBN
올해 2월 국내 가계대출이 3조3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잠정집계됐다. 전월은 물론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증가세 둔화가 완연해 보인다.

1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월 국내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3조3000억원 증가했다. 5조1000억원 증가했던 1월과 6조8000억원 증가했던 지난해 2월에 비해 각각 1조8000억원과 3조5000억원 감소했다.

아울러 제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둔화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2월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3조8000억원의 증가세를 기록했었다. 올해 2월에는 7000억원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올해 1월에 비해서도 1조7000억원 이상 감소했다. 상호금융권은 가계대출 규모가 5000억원 감소했다. 보험과 저축은행, 여신전문회사 가계대출은 각각 7000억원과 1000억원, 5000억원 증가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모두 2조6000억원 증가했다. 전월 증가분 2조7000억원과 전년 동기 증가분 3조원에 비해서 소폭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이 1조8000억원, 신용대출을 비롯한 기타 대출이 8000억원 증가했다.

정부의 가계부채 종합대책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또 2월 중 설 연휴가 있어 상여금 지급 등에 따라 대출 수요가 감소한 것도 증가세 둔화의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올해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부담 증가,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에 따른 신용대출 및 자영업자 대출 증가 등이 우려되기 때문에 선제적인 가계부채 관리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이달 26일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개인사업자대출 가이드라인 도입 등 가계부채 대책을 차질없이 이행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아울러 취약·연체차주 지원 강화 등을 통해서 금리상승으로 인한 리스크 요인 최소화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전 금융권 연체금리 인하 등의 취약차주 지원방안을 다음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