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 금리를 동결했지만 물가 상승 전망을 강화한 영향으로 하락했다.

2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4.07포인트(0.72%) 하락한 23,924.9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9.13포인트(0.72%) 내린 2,635.6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9.81포인트(0.42%) 하락한 7100.90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 참가들은 연준의 통화정책회의 결과와 미국 금리 동향을 주시했다.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의 무역갈등도 주요 요인으로 부상했다.

연준은 이날 종료된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 금리를 1.50~1.75%로 동결했다. 시장이 충분히 예상했던 결과다.

연준은 다만 물가 상승에 대한 전망을 한층 강화하면서 매파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연준은 지난 3월 회의 성명에서 12개월 기준 전반적 물가와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는 지속해서 2%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지만 이번에는 2%에 근접하게 움직였다고 수정했다.

연준은 올해 총 3차례 금리 인상 방침을 예고해 왔다. 최근에는 국제유가 상승 등으로 물가 상승 우려가 커지면서 네 차례 금리 인상 전망이 힘을 받았다.

무역갈등 이슈도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등 미국 경제대표단은 오늘 3~4일 중국을 방문해 무역 관련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대장주 애플의 호실적과 대규모 주주환원 조치도 별다른 효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애플의 전 분기 주당 순이익(EPS)은 2.73달러로 팩트셋 예상치 2.62달러를 넘어섰다. 애플은 또 총 1000억 달러의 자사주 매입을 시행하고 배당금도 늘리는 등 대규모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했다.

애플 주가는 이날 4%가량 올랐지만 지수 전체에 미친 영향은 제한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장 초반 상승세를 나타냈지만 하락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통신주가 1.76% 하락했고 필수 소비재도 1.93% 내렸다. 반면 유가 강세에 힘입어 에너지 주는 0.39% 상승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6월 25bp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을 95.0%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2.39% 상승한 15.86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