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중 최고치를 경신한 원·달러 환율의 향방이 주목된다. 미중 무역분쟁 격화로 인한 달러 강세가 원·달러 환율의 급등의 주 요인인 만큼 미중 무역분쟁 판세에 따라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달러 강세 기조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냐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늦어도 오는 7월 하순쯤에는 달러 강세가 수그러들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가 하면, 오는 11월 미국 중간선거 전까지는 강달러가 이어질 것이란 반론도 있다.
26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오후 1시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1.2원 내린 111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9.8원 오른 1117.2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해 11월 14일(1118.1원) 이후 7개월여 만에 최고치이자 올해 연중 최고치다.
이승훈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6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와 ECB(유럽중앙은행) 회의 이후 달러 강세는 미중 무역분쟁 격화 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때문"이라며 "지난 2016년 12월의 약달러 전환에 중국 위안화 약세 진정이 있었다면 지금은 무역분쟁 완화가 달러화 방향성 전환의 핵심"이라고 진단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협상 결과에 따라 늦어도 7월 하순께는 원·달러 환율 상승세가 멈출 것이란 전망이다.
이 연구원은 "최선의 시나리오는 중국이 제시한 정책조합에 대한 미국의 만족으로 7월 6일 양국의 관세부과 시한 이전에 양국이 협상에 도달, 우려한 쌍방 관세가 현실화되지 않는 것"이라며 "이러한 시나리오 하에서는 금융시장의 안전자산 선호 완화와 달러화 약세로의 전환이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차선책은 7월 6일 양국이 340억 달러 상당의 품목에 대해 일단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대신, 빠른 시일 내에 협상에 도달해 무역분쟁을 종결시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미국이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보복관세 부과를 실제 예고하거나, 중국이 다시 여기에 응수하는 경우라고 봤다.
그러나 이 연구원은 "이런 경우라도 양국간 무역분쟁 격화는 11월 중간선거를 넘기지 않을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며 "관세부과에 대한 업계의 반대 여론이 우세한 데다, 무엇보다도 미국 입장에서 중국과의 분쟁이 길어지거나 관계가 악화된다면 대중 투자확대와 잠재성이 가장 큰 중국 서비스시장에서의 지위가 약화될 위험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 연구원은 "미국과 중국이 일정 수준의 협상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글로벌 금융시장 리스크로 원·달러의 1100원 수준 상회가 불가피할 수 있다"면서도 "우리의 시나리오 대로라면 이르면 7월 초순, 늦어도 7월 하순까지는 문제 해결에 양국이 근접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원화 약세가 장기화될 개연성은 낮아 보인다"고 판단했다.
반면에 11월 미국 중간선거 전까지 강달러 분위기와 무역분쟁이 이어질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중간선거 전까지 미국과 비(非) 미국 간의 힘겨루기는 비 미국이 실리를 챙기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체면을 살려주는 선에서 중간 타협을 볼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즉, 환율에서 비 미국 연합(유럽, 중국 등)들이 실리를 얻을 것이고 반대로 미국은 대중이 쉽게 이해하는 관세에서 상처뿐인 승리를 얻을 것"이라며 "그 말인즉슨 달러화 강세 분위기가 이어지고 대신 무역분쟁 광고 효과가 선거 전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달러 강세가 기술적 분석 면에서나 시장 포지션으로 봤을 때 큰 폭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게다가 상반기 강달러와 약유로 영향이 펀더멘털 지표에 서서히 반영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문 연구원은 "모든 자산은 재료를 선반영해 이달 중에 가격 조정을 끝내고 11월 선거까지 지루한 관망세를 유지할 것"이라며 "6월의 금융자산 가격 조정은 최근 흐름의 마무리 수준일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