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 회장은 2005년 이후 하버드에서 모두 아홉 차례 강의를 했는데 KT 회장으로는 이번이 세 번째다. 이번 강의는 HBS 케이스로 'KT 스마트에너지 사업'이 등재된 것을 기념해 이뤄졌다.
HBS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생산은 물론 기존 에너지의 효율화에 초점을 맞춘 KT의 스마트에너지 사업에 주목했다. 즉 공급과 수요의 효율화를 통해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KT 스마트에너지 사업은 HBS 석사 2년차 과목인 '21세기 에너지(21st Century Energy)' 케이스로 다뤄졌다.
KT는 지난해 '기가토피아 전략'에 이어 2년 연속 등재하게 됐다. 국내 기업 중 HBS에 2회 이상 등재한 기업은 삼성전자(마케팅, 반도체, 글로벌)와 SK(사회공헌, 싸이월드)뿐이다.
황 회장은 KT가 세계 최초로 선보인 지능형 통합에너지 관리 플랫폼인 'KT-MEG(Micro Energy Grid)'와 함께 인공지능(AI)에 기반한 에너지 빅데이터 분석엔진인 'e-브레인(e-Brain)'을 중심으로 KT의 스마트에너지 사업을 설명했다.
KT-MEG은 e-브레인을 통해 에너지의 '생산-소비-거래' 전 분야에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전기뿐 아니라 태양, 열, 가스, 물, 바람까지 관리가 가능하다. 2015년 12월 문을 연 과천 KT-MEG센터는 대규모 발전기부터 소형 건물까지 다양한 사이트를 관리하고 있다.
황 회장은 가상현실(VR)을 통해 실제와 같이 구현한 디지털 트윈을 통해 올 여름 2개월간 KT R&D센터의 에너지비용을 약 12% 절감한 사례를 소개했다.
또 KT MEG와 e-브레인을 적용하면 10~20%, 설비 교체를 병행하면 20~40% 수준의 에너지비용을 줄일 수 있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에너지 관리 서비스, 최적자동제어 등을 모두 활용하면 최대 75% 수준까지 에너지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T그룹은 스마트에너지 시장에서 2020년까지 5000억원, 2022년까지 1조원의 매출을 올리겠다는 목표다.
KT는 해외에서도 에너지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15년 5월 우즈베키스탄에서 1200억원 규모의 지능형 원격 검침 구축 프로젝트를 계약한 데 이어 지난달에는 300억원 규모의 첨단 스마트 미터기 공급 및 운용시스템 구축 계약을 맺었다.
또한 2015년 7월부터 베트남 꽝빈성 4개 지역 44개 마을에서 태양광 발전설비 시스템 구축사업을 시작했다. 호주에서는 ESS 구축사업과 함께 KT-MEG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공급할 계획이다.
황 회장은 "이번에 HBS 케이스로 등재된 스마트에너지는 KT가 글로벌기업으로 발돋움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KT는 5G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국민기업이면서 정보통신기술(ICT)를 통해 인류의 당면과제 해결에 기여하는 글로벌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