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층 사무실에서는 원하는 자리를 선택해 스마트폰을 도킹 패드에 꽂아 모니터에 내 화면이 바로 뜨고 업무를 시작할 수 있다. 노트북을 힘들게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
SK텔레콤은 13일 서울 종로구 소재 센트로폴리스 빌딩에 구축한 5G 스마트오피스를 공개했다.
5G 스마트오피스는 SK텔레콤이 보유한 5G,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보안,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등 첨단기술의 집약체다. 5G를 통해 사람과 공간, 디바이스, 2000여개 센서 등이 거미줄처럼 엮여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시·공간 제약 없이 업무가 가능한 곳이다.
'5G Walking-through 시스템'은 영상분석 기술과 AI의 딥러닝 기술을 통해 카메라가 얼굴을 인식, 출입증이나 지문인식 없이 출입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카메라가 피부톤, 머리카락 등 3000여개 특징을 잡아내 감정과 표정을 읽어 감성적인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
화난 표정의 직원에게 햇볕 드는 좌석을 추천하거나 달콤한 커피를 마시며 휴식을 취하도록 제안하는 식이다.
출입문을 통과하면 바로 앞에 원하는 좌석을 선택할 수 있는 키오스크가 있다. 키오스크 화면에는 좌석 및 화장실 사용현황부터 나의팀원이 어디에 앉아있는지 까지 한눈에 볼 수 있다. 스마트폰 및 PC에서도 좌석을 예약할 수 있다.
5G 스마트오피스의 가장 눈에 띄는 기술은 '5G VDI 도킹 시스템'이다. 개인 노트북이나 PC 없이도 도킹 패드에 스마트폰만 꽂으면 가상 데스크톱 환경(VDI)과 즉시 연동돼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전원을 켜고 로그인하는 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5G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덕분에 보안과 네트워크 안정성도 높일 수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중앙서버에서 PC를 불러오는 방식이기 때문에 운영체제 및 스마트폰 기종에 관계없이 내 PC처럼 업무를 할 수 있다. 해외에서도 가능하다"며 "이동성이 뛰어나 향후 공유오피스에서의 수요가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낙훈 SK텔레콤 5GX IoT·Data그룹장은 "부서마다 공간 사용 및 외근·내근 비중이 다르다. 다양한 센서를 통해 데이터가 수집되면 유사 업무 및 직종 회사에 적용할 수 있다"며 "공유오피스 업체도 다이내믹한 공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올해 데이터를 많이 쌓고 고도화해 서비스 구현 퀼리티를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거리에 있는 회의 참가자들이 동시 접속해 실제 같은 방에 모여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AR 글라스를 통해 가상공간에서 대용량 영상자료를 함께 보거나 3D 설계도면을 펼쳐서 회의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비용과 시간을 들여 출장을 갈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5G 카페테리아'에 가면 AI무인자판기, 바리스타 로봇 등이 있다. AI무인자판기는 영상분석 기술을 통해 자판기가 직원을 알아보고 음료를 꺼내면 자동으로 정산된다.
이외에도 5G 스마트오피스에는 임원실과 고정석, 케이블, 칸막이 등을 찾아 볼 수 없다. 개인이 점유하는 것을 줄이거나 없애고 다수가 협업하고 소통할 수 있는 가상회의실, 라운지, 집중업무실 등이 대부분이다.
신상규 SK텔레콤 ER그룹장은 "스마트오피스는 노트북과 종이는 물론 케이블, 고정석, 칸막이 제로가 목표"라며 "협업과 소통 활성화로 업무효율을 높이고 몰입을 통한 업무시간을 줄여 '워라벨'도 향상된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이 이번에 공개한 5G 스마트오피스는 테스트베드 개념이다. 5G 생태계가 구축돼야 스마트오피스도 상용화 수준까지 올라올 수 있다고 SK텔레콤은 전망한다.
최 그룹장은 "현재 5G 스마트오피스에 대한 비즈니스모델을 구체화하고 있는 단계"라며 "업무의 생산성은 올라가지만 초기 비용 역시 따라 커진다.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보다는 대기업, 정부 등이 초기 고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