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는 1조2200억원 규모의 '협력업체 상생 및 반도체 생태계 강화' 계획을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최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에 대한 정부 심의가 통과된데 따른 조치다.

SK하이닉스는 ▲상생펀드 조성 3000억원 ▲인공지능 기반 상생협력센터 설립 및 상생프로그램 추진 6380억원 ▲공동 R&D 2800억원 등을 순차 지원할 계획이다.

우선 SK하이닉스는 2022년 착공 예정인 첫 번째 반도체 팹(FAB) 기공에 맞춰 반도체행복펀드 2000억원, 지분투자펀드 1000억원 등 상생펀드(3000억원)을 조성한다.

조성된 자금은 반도체 장비∙소재∙부품 관련 기술혁신기업에 사업 자금 무이자 대출, 스타트업 자금 지원, 중장기 지분 투자 재원으로 활용된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동반성장을 추구하는 '상생협력센터(가칭 WeDoTech 센터)' 설립 및 '상생프로그램' 진행에도 6380억원을 지원한다. 기업의 창업연구공간·회의실·교육장으로 활용될 상생협력센터 설립, 반도체 특화 안전 교육시설, 에너지 저감 인프라 구축에 480억원을 투입한다.

아울러 미래 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기반 생태계 조성 및 반도체 역량 강화 상생프로그램에 10년간 5900억원(연간 590억원)을 투입한다.

세부 프로그램은 ▲국산화 지원(연간 360억원) ▲반도체∙인공지능 벤처 육성(연간 80억원) ▲반도체 인재 육성(연간 100억원) ▲협력사 고용 지원(연간 10억원) ▲환경·안전·보건 지원(연간 30억원) ▲산업보안 등 경영 지원(연간 10억원) 등이다.

SK하이닉스는 이와 함께 협력업체와 공동 R&D 지원에도 10년간 2800억원(연간 280억원)을 배정했다.

SK하이닉스는 그간 기술 잠재력이 높은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자 2017년부터 매년 3개사를 선정해 상생협력 프로그램인 '기술혁신기업'을 운영해 왔다. 첫번째 팹(FAB) 기공에 맞춰 기술혁신기업 대상 기업을 3개사에서 10개사 이상으로 확대해 공동 R&D를 강화할 방침이다.
▶ 반도체 상생 클러스터 지원방안 [표=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홍보담당 김정기 상무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기반이 될 반도체 클러스터의 상생협력 프로그램이 가동되면 현재 20% 수준인 반도체 장비 국산화율이 더 올라갈 것"이라며 "남은 절차도 잘 마무리해 반도체 생태계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일대 448만㎡(135만평) 부지에 120조원을 들여 4개의 반도체 팹(FAB)을 건설하는 반도체 특화 산업단지 조성사업이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팹(FAB) 4개 운영에 1만2000명(팹 1개당 3000명), 지원부서 인력 3000명 등 1만5000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함께 입주할 50여개 장비∙소재∙부품 협력업체도 8000여명을 고용할 것으로 추산된다. 산업단지 조성 및 팹 건설을 위한 건설사의 직접 고용 인원도 2000명에 달할 전망이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총 2만5000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이천은 본사기능과 R&D/마더팹(Mother FAB) 및 D램 생산기지로 ▲청주는 낸드플래시 중심 생산기지로 ▲용인은 D램/차세대 메모리 생산기지 및 반도체 상생 생태계 거점으로 3각축을 구축해 중장기 성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 SK하이닉스 M14 전경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