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 교환기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모든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이 인터넷 망으로 접속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관문이다.
현재 5G 네트워크는 LTE와 장비를 일부 공유하는 NSA(Non-standalone, 5G-LTE 복합 규격) 방식이다. 네트워크를 오롯이 5G 장비로 구성하는 5G SA는 표준화 개발 소요 시간, 비용, 자원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용 초기에는 NSA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5G SA는 기존 5G NSA 대비 데이터 처리 효율성이 3배 높다.
두 회사가 이번에 성공한 5G SA 연동은 실제 고객 대상 서비스와 동일한 환경에서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는지 확인하는 절차이다.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전 과정을 문제없이 통과해야 성공으로 인정된다.
박진효 SK텔레콤 ICT기술센터장은 "NSA 구축 초기부터 고객에게 차별화된 통신 품질과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SA 업그레이드 기술 개발해 왔고 내년 상반기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삼성전자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5G 기술들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