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 100대 기업의 2분기 해외매출이 전년대비 19.8% 급감한 146.3조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 팬더믹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 영향이다.

전분기(1분기)의 경우 해외매출은 코로나 영향이 중국·아시아 지역에 한정되면서 전년대비 0.65% 증가한 170.4조원을 기록한 바 있다.

이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7일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의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수출입은행이 발표한 올해 2분기 전체 수출이 전년동기(1385억 달러) 대비 20.3% 감소하고, 전분기(1302억 달러) 보다 15.2% 감소한 1104억 달러를 나타낸 것과 유사한 수치다.

한국 산업의 주력업종 모두 해외매출 부진을 면치 못했다. 전기·전자는 코로나 이후 원격근무・온라인 교육 등 언택트 문화 확산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 대비 5.1% 감소한 71조원을 기록했다.

▶ 매출 100대 기업의 업종별 전해외매출 비중(2019년) ⓒ전경련

자동차·차부품은 폭스바겐, BMW, 벤츠, 아우이 등 메이저 완성차 기업의 글로벌 생산라인 가동 중단, 세계수요 급감 직격탄을 맞아 36.5% 급감했다. 에너지·화학업종 역시 지난해부터 이어진 정제마진 약세, 국제유가 급락, 코로나 확산에 따른 해외 수요 부진으로 30.9% 줄었다. 특히 철강업종은 자동차 강판 수요가 급감하면서 해외 매출이 80% 이상 급감했다.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 중 지역 및 국가별 해외매출 실적을 공개하는 상위 20대 기업의 대륙별 매출은 아시아 24%, 미주 12.6%, 유럽 11.2%가 각각 감소했다. 다만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SK하이닉스, 현대모비스 등 중국 매출을 공개하는 5대 기업의 중국 매출은 전년대비 5.9%, 전기대비 19.6% 증가했다.

▶ 20대 기업의 지역·분기별 해외매출 추이 [단위 : 조원, %] (증가율 2019년 2Q 대비)ⓒ전경련

이는 2분기 중국의 투자·소비·생산이 2∼3월 최저점을 찍은 이후 회복하면서 실질 성장률이 3.2%를 기록, 5월 21일 열린 양회에서 5G·AI·사물인터넷·IDC 등 신형 인프라 투자 확대로 관련제품 수요가 증가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2분기 미국 독일 일본이 GDP의 10~20% 규모로 막대한 재정을 쏟아 부었지만 경제회복 조짐이 보이지 않는 등 기업의 글로벌 비즈니스 여건이 과거 IMF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어려운 상황"이라며 "기업인의 교역·투자국에 대한 특별출입국 확대, 현지 정부와의 협력 등 해외에 진출한 우리 기업을 지원하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