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증권

라임 사태 관련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를 하루 앞두고 KB증권이 라임펀드 관련 사기를 공모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그 동안 KB증권은 다른 판매사들에 비해 혐의점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공모가 사실로 밝혀질 경우 예고대로 중징계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 펀드 판매 증권사 대신증권과 KB증권에 대한 금융감독원 제재심의위원회가 오는 5일 재개된다. 제재심은 금감원 검사부서와 제재 증권사 및 임직원이 각각 나와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는 식의 대심제로 진행된다.

KB증권이 최근 '라임사태'와 관련해 사기 행각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받으면서 국면이 전환됐다. 지난 6월 이뤄진 금감원의 KB증권 검사에서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이를 근거로 KB증권에 이례적으로 중징계를 예고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KB증권은 라임과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맺고 수수료 수익을 얻어왔다. KB증권은 일부 라임펀드 투자자가 손실을 보도록 펀드 구조를 설계한 뒤 이를 숨겼다는 의혹이 나왔다. 이에 대한 대가로 KB증권 직원이 라임자산운용으로부터 개인적으로 돈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9일는 신한금융투자에 대한 제재심이 열렸다. 당시 3개사에 대한 제재심이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신한금융투자에 대한 제재심이 길어지면어 대신증권과 KB증권에 대한 제재심을 다 끝내지 못했다. 그만큼 금융감독원과 증권사 간 공방이 치열했던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림 KB증권 대표이사, 윤경은 전 KB증권 대표 등은 1차 제재심에 참석했지만 시간상 심의는 열리지 못했다.

KB증권은 현직인 박정림 대표가 중징계를 예고 받으면서 제재심에서 적극적인 해명과 선처에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박 대표는 추후 금융당국 징계에 따라 행정소송도 불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박 대표는 국내 증권사 최초 여성 CEO로 상징성이 있고 판매사 중 현직 CEO가 중징계 대상에 오른 건 KB증권이 유일해서 업계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중징계가 확정되면 박 대표는 연임은 물론 향후 몇년 간 금융권에 취업을 제한 받는다.

KB증권은 금감원이 제재 근거로 내세운 '금융회사 내부통제기준 마련'이 경영진에게 제재를 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되지 못한다는 반박으로 맞설것이라는 데 무게가 실렸다. KB증권은 라임사태의 근본 원인을 ‘금융감독원의 감독·대응·수습 실패’라고 설명하는 탄원 문건을 작성하기도 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도 금감원이 자본시장법이 아닌 지배구조법을 제재 근거로 내세운 것에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는 목소리를 내왔다.

하지만 KB증권도 라임 사태에 가담했다고 밝혀질 경우에는 금감원 예고대로 중징계가 불가피 할수도 있다.

서울남부지방검찰청은 전날 KB증권에 대한 검사 자료 확보를 위해 금융감독원을 압수수색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