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양자암호통신 인프라 구축사업을 통해 공연·엔터테인먼트 분야 응용서비스에 양자보안을 적용한다고 6일 밝혔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2021년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운영 사업에 LG유플러스는 △코위버(10G급 전송장비) △서울대학교 크립토랩(PQC 알고리즘) △ICTK(PUF) △드림시큐리티(인증·암호화 모듈) 등 국내 파트너들과 참여한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산업·의료분야 전용회선에서 검증한 양자내성암호를 공연·엔터분야 응용서비스에도 확대 적용해 나갈 계획이다.

양자내성암호를 활용한 End-to-End 암호키교환 방식은 전송거리에 제약이 없고 향후 해저케이블 구간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양자키교환(QKD)과는 달리 이미 구축한 전송망에 선로를 추가로 구성하거나 중계 노드를 만들 필요 없이 양단(兩端) 구성만으로 보안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데이터 전송의 전 계층과 국내외 고객전용망·기간망·Access망·모바일코어망 등 각종 통신망, 비대면 국제회의·화상수업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어 확장성도 뛰어나다.

지난해 USB에 넣었던 양자난수기반 물리복제방지칩(PUF)을 유심(USIM)과 IC카드에 탑재해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관리 △공연티켓 예매·구매자 인증 강화 △안면인식 활용 산업체 출입보안 등 응용서비스에 활용할 방침이다.

티켓예매 서비스의 경우 스마트폰을 통해 고객이 공연티켓을 예매하면 이 예매정보가 양자내성암호가 적용된 전용회선을 거쳐 LG유플러스의 인터넷데이터센터(IDC)를 통해 구매정보 서버로 전달된다.

공연 전 고객이 티켓을 발권할 때는 양자보안이 적용된 PUF-USIM 인증기술을 통해 티켓 구매자임을 인증하게 돼 안전한 예매-발권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 티켓 구매 인증정보를 투명하게 처리해 공연 티켓의 암표거래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