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1월 사회적 책임 강화 행보의 일환으로 발족한 상생자문위원회와 모빌리티투명성위원회의 활동을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각 위원회는 활동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CEO 산하 직속기구로 설치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국회에 제출한 추가 상생방안을 통해 택시 배차 관련 데이터 처리 과정에 대한 신뢰성과 투명성 확보 방안을 제고하고 상생 자문 위원회를 신설해 플랫폼 파트너 간의 상생동반성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상생자문위원회는 공급자의 후생과 이용자 편의성 증진을 목적으로 상생 관점에서 서비스가 미칠 영향과 실효성 있는 상생 협력 방안을 자문하고 소비자, 파트너, 정부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대변하는 역할을 맡는다.
상생자문위원회는 교통, 노동, 소비자, 언론, 법조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황기연 혹인대 도시공학과 교수가 위원장으로 선출됐다.
상생자문위원회는 연 6회 정례회의를 개최하고 카카오모빌리티가 외부 전문가의 객관적 조언이 필요한 논의 주제를 선별해 위원회에 사전 발제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위원회 발족 이후 실질적인 논의에 돌입할 수 있도록 플랫폼 파트너와의 상생방안과 실천 현황 등에 대한 위원 보고를 진행했다. 이달 정례회의부터는 본격적인 자문 논의와 의견 수렴이 진행된다.
모빌리티투명성위원회는 빅데이터와 AI 등 기술적 관점에서 택시 배차시스템 내 데이터 처리 과정의 적절성과 신뢰성, 투명성을 전방위적으로 진단하고 모빌리티 플랫폼이 사회와 교통 편익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도 심도 있게 모색해 나간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각계로부터 빅데이터와 AI 관련 기술 분야와 국내 교통관련 분야의 국내 최고 전문가 7인을 추천받아 1월 모빌리티투명성위원회를 발족했다. 이달부터 시작되는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구체적인 택시 배차시스템 연구 및 평가 방법론을 논의해왔다.
국내에서 택시 배차시스템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첫 진단 및 연구 사례인 만큼 방법론 측면에서도 신중을 기한다. 교통정책 분야 권위자인 김현 한국교통대 교통에너지융합학과 교수가 위원장으로 선출됐다.
모빌리티투명성위원회는 매월 2차례 정례회의를 통해 기술적 관점, 소비자 후생, 사회적 기여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연구단계 설정부터 진단과 개선방향에 대한 논의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이달부터 택시 배차시스템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에 돌입하며 신뢰도 제고 차원에서 공개보고서 등 다양한 방식을 검토해 활동 내용을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사회·제도·기술·공급자·사용자 등 다양한 관점에서 전개될 위원회의 자문과 진단을 통해 플랫폼이 공급자와 사용자에게 제공해온 편익은 더욱 높아지고 업계 동반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방안도 구체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외부 전문가 위원회 발족에 앞서 지난해 택시 스마트호출 폐지, 프로멤버십 요금 인하, 대리 변동 수수료 확대, 가맹 택시 기사 취소 수수료 배분 등 다양한 상생방안을 실천했다.
가맹점협의회 간담회, 대리운전노조와의 단체교섭 등 업계와의 동반성장을 위한 소통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