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 집무실에서 열린 인수위 티타임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안철수 인수위원장.ⓒ연합

오는 5월 윤석열 정부 출범을 앞두고 벌써부터 차기 총리 하마평이 나오고 있다.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사는 안철수 인수위원장이다.

한편으로는 윤석열 정부가 '국민통합정부'를 천명한 만큼 통합에 방점을 둔 호남 지역 인사나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경제 상황을 감안해 경제 전문가를 등용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윤석열 정부의 초대 총리는 국민의힘 의회 의석이 절대적으로 적은 여소야대 구도에서 협치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이에 초대 총리에 민주당이 공감할 수 있는 후보를 내세우는 게 불가피하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차기 정부의 초대 총리로 우선 거론되는 인사는 안 위원장이다.

앞서 윤 당선인과 안 위원장이 단일화 선언을 하면서 '공동정부 구성'을 약속했던 만큼 그가 초대 총리를 맡을 가능성이 크지 않겠냐는 것이다.

대선 기간 민주당도 안 위원장을 향해 강력한 '러브콜'을 보냈고 여러 차례 선출직 선거에 출마하면서 검증을 거쳤다는 점에서 국회 인준이 상대적으로 수월할 것으로 기대되는 점도 긍정 요인이다.

안 위원장도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총리를 이야기하는 분이 계시는데 현재 제가 맡은 일에 집중하자는 생각 밖에 머릿속에 들어있지 않다"고 밝혀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는 않았다.

안 위원장은 초대 총리를 비롯해 향후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합당한 신설 보수 정당의 전당대회 출마 등 여러 선택지를 펼쳐두고 고민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윤 당선인이 통합과 엄중한 경제 상황을 감안해 인수위 수장을 맡은 안 위원장 대신 다른 인사를 총리에 기용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 경우 초대 총리 후보로는 대내외 경제 상황을 고려해 '경제'에 강점이 있는 인사를 기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교수 출신의 여성 경제학자 윤희숙 의원 등의 이름이 일각에서 나오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지방선거가 불과 석 달 앞으로 다가온 데다 보수와 진보 모두 '국민 통합'을 주요 과제로 내세운 가운데 '통합'에 방점을 둔 인사를 기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이런 콘셉트의 인사로는 인수위 국민통합위원장으로 중용된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 호남 출신 4선 의원을 지낸 박주선 전 국회부의장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현재까지 공개된 새 정부의 인사 대원칙은 '능력과 실력'을 제1기준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