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5월 윤석열 정부 출범을 앞두고 벌써부터 차기 총리 하마평이 나오고 있다.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인사는 안철수 인수위원장이다.
한편으로는 윤석열 정부가 '국민통합정부'를 천명한 만큼 통합에 방점을 둔 호남 지역 인사나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경제 상황을 감안해 경제 전문가를 등용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윤석열 정부의 초대 총리는 국민의힘 의회 의석이 절대적으로 적은 여소야대 구도에서 협치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이에 초대 총리에 민주당이 공감할 수 있는 후보를 내세우는 게 불가피하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차기 정부의 초대 총리로 우선 거론되는 인사는 안 위원장이다.
앞서 윤 당선인과 안 위원장이 단일화 선언을 하면서 '공동정부 구성'을 약속했던 만큼 그가 초대 총리를 맡을 가능성이 크지 않겠냐는 것이다.
대선 기간 민주당도 안 위원장을 향해 강력한 '러브콜'을 보냈고 여러 차례 선출직 선거에 출마하면서 검증을 거쳤다는 점에서 국회 인준이 상대적으로 수월할 것으로 기대되는 점도 긍정 요인이다.
안 위원장도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총리를 이야기하는 분이 계시는데 현재 제가 맡은 일에 집중하자는 생각 밖에 머릿속에 들어있지 않다"고 밝혀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는 않았다.
안 위원장은 초대 총리를 비롯해 향후 정치적 상황에 따라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이 합당한 신설 보수 정당의 전당대회 출마 등 여러 선택지를 펼쳐두고 고민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치권에서는 윤 당선인이 통합과 엄중한 경제 상황을 감안해 인수위 수장을 맡은 안 위원장 대신 다른 인사를 총리에 기용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 경우 초대 총리 후보로는 대내외 경제 상황을 고려해 '경제'에 강점이 있는 인사를 기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교수 출신의 여성 경제학자 윤희숙 의원 등의 이름이 일각에서 나오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지방선거가 불과 석 달 앞으로 다가온 데다 보수와 진보 모두 '국민 통합'을 주요 과제로 내세운 가운데 '통합'에 방점을 둔 인사를 기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이런 콘셉트의 인사로는 인수위 국민통합위원장으로 중용된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 호남 출신 4선 의원을 지낸 박주선 전 국회부의장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현재까지 공개된 새 정부의 인사 대원칙은 '능력과 실력'을 제1기준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