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전문가들 사이에서 재유행이 올해 11월에서 내년 초 사이 발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정은옥 건국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20일 질병관리청이 주최한 '과학 방역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 심포지엄'에서 이같은 유행 전망을 소개하며 "가을 재유행이 시작되기 전에 4차 접종이 이뤄지지 않는 경우부터 60대 이상 400만명이 접종할 경우, 전 연령에서 고르게 400만명 또는 1200만명이 접종할 경우 등 4가지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계산한 결과, 누적 사망자는 최소 700명에서 최대 2700명이 발생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고 전했다.

1200만명의 전 연령층에서 고르게 접종이 이뤄질 경우에 중환자 숫자가 가장 적었다. 400만명 접종이 이뤄지는 시나리오에서는 대상군이 60세 이상 고령층일 때 중환자가 최대 1347명, 전 연령일 때는 1418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대 이상에 대해 접종이 이뤄졌을 경우에는 중환자 수가 근소하게 적었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정재훈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도 "지금까지 한 변이의 우세 지속기간이 10∼14주였다"면서 "새 변이는 BA.2(스텔스오미크론)의 우세종화 시점 10∼14주 후인 올해 하반기에 중규모 유행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렇게 나타난 변이는 기존 백신 접종이나 자연 감염 효과로 중증화율을 줄일 수 있지만, 면역 회피하는 능력과 전파력은 더 높아질 것이란 예측이다.

발표자로 나선 김재용 건보공단 빅데이터전략본부 빅데이터연구부장은 "재감염자 중 델타 유행기 확진자 비중이 높고 오미크론 유행기에는 재감염 사례가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런 상황에서 오미크론 유행기에 확진자 재감염이 급증한다면 신종 변이의 확산 신호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항체 양성률·재감염율·백신효과 감소, 경구용 치료제 투약 효과 평가를 통해 하반기 유행에 대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방역패스 효과 등 정부의 과거 정책 평가도 필요하다는 당부도 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코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