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디지털 플랫폼 기업(DIGICO)로의 성공적 전환과 핵심 성장사업 중심의 그룹 포트폴리오 안착을 통해 올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다.
KT는 올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6조3122억원을 기록했다고 10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 4592억원, 당기순이익 3634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5%, 2% 줄었다. KT클라우드 분사의 영향과 함께 임직원 자사주 구매, 인건비 등 일시적 비용이 반영된 결과다.
시장 전망치인 매출 6조3443억원, 영업이익 4879억원을 하회하는 수준이지만 상반기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4% 성장한 12조5899억원, 영업이익은 18% 증가한 1조858억원을 기록했다.
본업인 유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증가세에 힘입어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올해 2분기 KT 5세대 이동통신(5G) 가입자 수는 747만명으로,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 중 약 54% 비중을 차지했다. 무선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
홈 유선전화 매출은 3.4% 감소했으나 초고속 인터넷 매출은 2.5% 증가했다. IPTV 사업은 가입자와 플랫폼 수익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6.1% 성장한 매출을 기록했다.
올 상반기 KT의 호실적을 이끈 부문은 B2B 사업이다. B2B 부문의 상반기 매출은 2조1000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5.5% 증가했다. 또 B2B 사업 수주액은 상반기 기준 1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3% 성장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인공지능 기반 고객센터(AICC) 사업은 금융권을 중심으로 대형 구축 사업을 수주, 상반기 매출이 전년도 연간 매출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드 부문과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4% 성장한 1211억원을 기록하며 두자릿수 성장을 이어갔다.
주요 그룹사의 성과 또한 상반기 호실적을 견인했다. 상반기 기준 그룹사 영업이익은 역대 최대인 3524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KT스튜디오지니, 나스미디어 등 콘텐츠 자회사의 매출 성장이 두드러졌다. 콘텐츠 부문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4.7% 성장한 2853억원을 기록했다. KT는 올해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흥행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시즌과 티빙의 합병으로 미디어 역량을 강화했다.
호텔 영업의 회복으로 KT 에스테이트의 매출 성장 또한 돋보였다. 에스테이트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46.3% 성장한 977억원을 기록했다. KT는 4분기에 명동 르메르디앙 및 목시 호텔을 오픈할 계획을 밝혔다.
기업공개(IPO)를 앞둔 케이뱅크와 밀리의 서재는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하는 등 예정대로 일정을 진행 중이다. KT는 "양사 모두 각 산업 내에서 차별화된 플랫폼 경쟁력과 성장성을 입증하고 있어 향후 IPO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가치를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KT의 '탈통신' 사업의 성과가 본격 두각을 나타내면서 디지코로의 전환에 속도가 붙는 모양새다. 2분기 누적 기준 KT의 디지코 사업 매출 비중은 4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T는 디지코 사업 매출 비중을 2025년에 5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한편 KT 및 그룹사의 설비투자액(CAPEX)은 올 2분기 누적 기준 총 1조7170억원을 집행했다. 이중 KT가 별도로 집행한 CAPEX는 1조4022억원이었다. 이는 전년도 상반기에 집행한 8641억원보다 62.3% 늘어난 수준이다.
무선 가입자당 매출(ARPU)은 3만2446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했다. SK텔레콤에 이어 KT 또한 이달 중에 출시 예정인 5G 중간요금제가 하반기 실적의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영진 KT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올해 상반기에는 국내 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선도하고 운동장을 넓혀, 기존 사업 영역을 확장시켜 KT의 가치를 재평가 받겠다는 전략이 주효했다"며 "하반기에도 KT의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성장 스토리를 만들어 나가며 성과를 입증해 나가겠다"고 설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