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금호건설 등 시공현장 하자 논란 이어져

작년 하자 신고 3313건…전년比 9.44% 증가

대안으로 ‘후분양’ 부상하지만…높은 가격 부담

“후분양 시행 위해선 사회적 공감대 형성돼야”

▶ 아직 형광등 설치 안 된 세종시 산울동 한 신축 아파트 내부. [제공=연합]

GS건설 ‘인천 검단아파트’, 대방건설 ‘송도 아파트’, 금호·신동아건설 ‘세종시 아파트’ 등등, 전국 곳곳에서 대형·중견사들의 아파트 하자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분양에 나선 수요자들의 불안감도 날로 커지는 모양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후분양’이 지속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후분양은 아파트 시공이 최소 60% 이상 이뤄진 상태에서 분양이 진행되기 때문에 진행 과정을 수요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이 됐을 땐 후분양이 해법으로 작용될 수 있지만, 자칫 분양가만 더욱 치솟게 만들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2일 인터넷커뮤니티와 세종시 등에 따르면 세종 ‘리첸시아 파밀리에’ 입주예정자들이 지난 18일 세종시청 앞에서 대재적인 시위를 벌였다. 이달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실시한 세종 리첸시아 파밀리에 사전점검에서 170건 이상의 하자가 발견된 데다 화장실 변기엔 오물이 담겨 있는 등 이달 말 입주를 실시하는 단지라고는 볼수 없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이 단지는 본래 지난달 15일부터 사전점검이 예정돼 있었으나 시공사인 금호건설과 신동아건설 측이 “더 완성된 모습으로 사전점검에 임하고 싶다”고 밝혀 사전점검 날짜가 5일 더 미뤄진 터라, 입주예정자들의 실망과 분노는 극에 달한 상태다.

입주예정자 A씨는 한 인터넷커뮤니티를 통해 “뉴스에서나 보던 일이 실제로 일어날 줄 몰랐다”며 “사전점검을 다녀왔는데, 복도와 실내에 자재가 쌓여있었다”고 분노했다.

또 다른 입주예정자 B씨는 “분양가만 4억원에 달한다”며 “우리집이 생긴다는 기대에 해외여행 한 번 안가고 잘 살아보겠다고 열심히 모은 돈과 피·땀이다”라며 고통을 호소했다.

감출수 없는 실망감과 분노로 가득찬 입주예정자 100여명은 지난 18일부터 세종시와 건설사를 향해 강한 비판을 쏟아내는 중이다.

이와 관련 시공사인 금호건설 관계자는 “잘 마무리 하겠다”며 “민원과 관련해 협의 진행 중에 있다”라고 했다.

앞서 인천 송도에선 대방건설이 부실시공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대방건설이 인천 연수구 송도동 일원에 시공한 한 이 아파트는 입주 후 약 2~3개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하자가 발견돼 입주민들의 원성을 샀다.

이 기간 발견된 하자는 △추락방지 난간 설치 미설치 △벽지·바닥 미시공 △방충망 탈락 등 수십건에 달한다.

현관문이 열리지 않는 세대도 있었고, 초고층건물에 발생하는 연돌현상(건물의 수직 통로로 바람이 상승하는 현상)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갇힘 사고도 여러 차례 발생했다.

대방건설 측은 “하자로 발생한 불편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빠른 시일 내에 하자 보수가 완료될 수 있게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이처럼 전국 곳곳 아파트 시공현장에서 하자·부실시공 논란이 이어지자 분양을 계획하고 있거나 분양에 나선 일부 수요자들은 견본주택으로 결정짓는 ‘선분양’ 보단 ‘후분양’을 선택하겠단 입장이다.

후분양은 전체 공정의 60~80%가 진행된 후 분양 절차에 돌입하기에 청약자들이 실물을 보고 청약에 나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후분양의 가장 큰 단점은 가격이다. 후분양 아파트는 건설사가 먼저 사업 자금을 조달해 짓는 만큼 대체로 분양가가 비싸다. 최근 원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으로 분양가가 치솟는 상황이라 후분양 아파트 분양가에 대한 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을 땐 후분양이 해법으로 작용될 수 있겠으나, 자칫 분양가만 더욱 치솟게 만들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기수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현재 건설업계는 건설자재비 상승 등으로 분양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됐다면 후분양을 시행해도 되겠지만, 지금의 상황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지 않을시 분양가는 더욱 치솟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후분양을 시행하게 되면 공동주택의 가격이 높아질 것인데, 이를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대책 수립을 먼저 해야한다”며 “일부 수요자들이 건설사들의 하자나 부실시공으로 후분양을 원하지만, 분양가 상승 등까지 고려하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자와 부실시공을 없앨 수 있다는 것만 생각해 주장한 게 아닐까라고 생각된다”고 얘기했다.

한편, 이날 EBN이 국토교통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요청한 ‘연도별 하자 심사 신청 건수’를 보면 작년 신고된 하자 건수는 3313건으로 집계됐다. 전년(3027건) 대비 9.44% 증가한 수치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