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사업 참여자 250명 모집

서울시는 16일 미취업 장애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장애 유형 맞춤형 특화일자리’ 사업 참여자 250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지난 4년간 운영해온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사업을 대폭 개편·보완한 것이다.
기존 권리중심 일자리는 노동시장에서 소외된 장애인을 위해 권익옹호, 문화예술, 인식 개선 등 분야에서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2020년부터 시행됐다.
그러나 직무가 집회·시위 등 캠페인 위주 활동에 편중돼 민간 일자리로 연계가 어렵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돼왔다.
실제 2020~2022년 권리중심 일자리 직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캠페인이 절반 이상(50.4%)을 차지했다.
일각에선 집회·시위에 집중된 활동이 장애인 인식에 되레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시는 권리중심 일자리 사업을 대폭 손질해 장애 유형별로 특화된 일자리 사업을 올해부터 시작한다.
키오스크 안내, 매장관리, 사서보조 등 장애 유형에 특화된 일자리를 공급해 사회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민간 일자리로도 연계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권리중심 일자리 사업은 1년 단위로 매년 시행됐던 보조금 사입”이라며 “매년 새롭게 사업자를 선정하고 참여자 선별 절차를 거치기에 기존 참여자의 지속적 채용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또 권리중심 일자리가 폐지된다 하더라도 다른 일자리 사업으로 장애인 일자리는 작년보다 늘었다고 시는 강조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