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월 4일 충남 천안시 풍세면 한 가금류 농장 진입로에서 방역 당국이 출입을 막고 긴급방역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2년 2월 4일 충남 천안시 풍세면 한 가금류 농장 진입로에서 방역 당국이 출입을 막고 긴급방역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는 지난 2일 전북 군산(만경강)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H5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동절기에 국내 야생조류 시료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지난 동절기 마지막 검출(경남 창원 주남저수지, 올해 2월 6일) 이후 8개월 만이다.

국내 야생조류 분변에서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3건 검출, 일본의 경우 9월 30일 야생조류 폐사체(매)에서 H5N1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1건 검출됐다.

농식품부는 '조류인플루엔자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위기경보 단계를  '주의'에서 '심각'으로 격상하고, 전국 가금농장에 대한 정밀검사 주기 단축, 방사사육금지 명령 등 강화된 방역조치를 시행한다.

농식품부 최정록 방역정책국장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위험성이 높아지는 시기인 만큼 가금농장 관계자 등은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마음가짐으로 차단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가금에서 폐사 증가, 산란율 저하 등 의심 증상이 관찰 될 경우 즉시 방역당국으로 신고해 줄 것"을 강조했다.

또한, 농식품부와 환경부는 "감염된 철새로부터 가금농장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철새도래지, 농경지, 하천 주변에서 야생조류 폐사체를 발견할 경우 즉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