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TV 화면 갈무리(제공=ebn)
연합뉴스TV 화면 갈무리(제공=ebn)

영국인 번역가 데버라 스미스가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한 공로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스미스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 한강의 대표작 '채식주의자'를 영어로 번역해 세계적 인정을 받았다.

2007년 한국에서 출간된 '채식주의자'는 2016년 영국의 권위 있는 맨부커 국제상을 수상하며 세계적 관심을 받았다. 한국인 최초의 이 수상에 스미스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케임브리지대 영문학과를 졸업한 스미스는 영국 내 한국어 전문 번역가 부족을 인식하고 독학으로 한국어를 습득했다. 그는 런던대 동양 아프리카대(SOAS)에서 한국학 석·박사 과정을 밟으며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스미스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강은 인간의 가장 어둡고 폭력적인 면을 완벽하게 절제된 문체로 표현해낸다"고 평가했다. 그는 '채식주의자' 번역부터 출판사 접촉, 홍보까지 전 과정을 주도했다.

2013년 런던북페어에서 스미스는 유명 출판사 그란타 포르토벨로에 '채식주의자' 번역본 일부를 제출했다. 맥스 포터 편집자는 "무섭고도 충격적이고 우아하며 급진적이고 아름다웠다"고 영문판 출간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스미스의 번역은 원작의 섬세한 문체를 잘 살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원작의 정신과 언어 형태에 충실하려 노력한다"며 "부실한 번역은 우수한 작품을 훼손할 수 있지만, 최고의 번역도 보잘것없는 작품을 명작으로 만들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스미스는 한국 고유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번역 방식을 선호한다. 그는 "소주를 '코리안 보드카', 만화를 '코리안 망가'로 쓰는 데 반대한다"며 "'소년이 온다' 번역에서도 '형'이나 '언니' 같은 단어를 그대로 썼다"고 설명했다.

'채식주의자' 이후에도 스미스는 한강의 '소년이 온다', '흰', 배수아의 '에세이스트의 책상', '서울의 낮은 언덕들', 황정은의 '백의 그림자' 등을 번역했다.

 

ebn
ebn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