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제공=금융감독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제공=금융감독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몇 달간의 예대금리차 확대와 관련해 “기준금리 인하로 금리부담 경감효과를 체감해야 하는 시점에서 예대금리차 확대로 희석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5일 오전 열린 임원회의를 통해 기준금리 인하효과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관리할 것과 금융감독 내실화에 필요한 예산‧인력 확보 등을 위해 노력할 것을 지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올해 3월 1.26%로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8월말 1.13%까지 내리는 듯 했으나 다시 지난달 1.22%로 반등했다.

이 원장은 “기준금리 인하는 통상 수신금리에 먼저 반영된 이후 대출금리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경향이 있다”며 “향후 개별 은행별 유동성 상황, 여수신 금리 추이 등을 분석하여 금리 반영 경로를 면밀히 점검하라”고 당부했다.

이어 “특히 대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큰 상황에서 수신 및 은행채 발행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지체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관리해 달라”고 강조했다.

최근 잇달아 발생한 금융사고 등에 대한 금감원의 사전예방 역량 강화와 함께 인적‧물적 자원의 확충 노력 등도 언급했다.

그는 “금융시장의 신뢰를 저하시키는 일련의 사건·사고들은 불확실한 금융환경 하에서 언제든지 재발할 수 있다”며 “금감원의 감독·검사 역량 제고를 위해 더욱 힘써 달라”고 말했다.

또한 “각종 금융사고 등과 관련해 금감원이 조기 진화와 수습을 위해 업무부담이 크게 증가한 만큼 직원들이 업무에 매진해 거둔 성과에 대해서는 합당한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개선할 부분이 있는지도 살펴보라”고 지시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