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새로운 전략 수립을 위한 고민에 빠질 전망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선거 당시부터 자국우선주의를 외치며 대미(對美) 수출 관세 인상,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축소 또는 폐지 등을 주장했다. 국내 완성차 사업의 경우, 대미 수출 비중이 절반에 달하는 만큼 적잖은 피해가 있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업계는 이번 결과와 관련해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다만, 시나리오별 전략을 준비하고 있었던 만큼 향후 확정될 새 정부 정책에 맞춰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현재 선거인단 과반인 277명을 확보하며 해리스 부통령(226명)을 따돌리고 백악관 재입성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대선은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막판까지 초접전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고됐다.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달 10일과 11일 50대 50의 동률을 기록했다. 이후 해리스 부통령이 줄곧 앞서다가 19일 트럼프 전 대통령 51%, 해리스 부통령 49%로 뒤집혔다.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열흘가량 선두를 점하다가 지난달 30일 또다시 50대 50의 동률을 기록하는 등 치열한 경쟁을 예고했다.
이런 흐름은 대선 당일인 이날에도 이어졌다. 그러나 경합주(州) 7개 가운데 노스캐롤라이나·조지아·네바다·펜실베이니아에서 선거인단을 가져가며 결국 백악관 재입성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국내 자동차 업계는 향후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은 우리 자동차 수출국 순위에서 지난 3분기 기준 압도적인 1위(점유율 52.2%)를 보였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번 대선 결과로 한국자동차산업에 미칠 영향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후보 시절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인상 및 IRA 지원 감축 또는 폐지 등을 언급한 만큼 급격한 통상환경 변화가 예상된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보편적 기본 관세 10~20%를, 중국산에는 60%의 고율 관세를 매기는 공약을 내놨다. 우리나라의 북미 지역 수출액은 370억 달러(51조6000억원)로 전체 수출액의 52.1%에 달한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165만대를 판매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을 국내에서 생산했다. 미국에서 관세가 부과되면 자동차 수출 타격이 불가피하다.
생산 물량 90%를 미국에 수출하는 한국GM 역시 관세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업계는 글로벌 시장 동향 및 통상정책 변화에 빠른 대응을 위해 다양한 기술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자동차에 대해 추가 관세 부과 등의 리스크가 존재, 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한다.
업계는 과거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전략에 따른 대응 방안을 지속해 마련해 왔다. 앞서 트럼프 정부 1기에서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통해 대미 자동차 수출국에 추가 관세 부과를 검토한 바 있다.
당시 업계는 한-미간 통상환경 개선은 기정립된 FTA(자유무역협정) 틀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논리를 강조하며 대응했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한국의 대미국 수출 의존도는 50% 수준으로 급격한 관세 인상 시 경영상황 악화 및 수출물량 유지에 큰 난항이 예상된다"며 "특정 국가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회장은 "트럼프 후보가 자국 산업 우선주의, 대중국 견제 강화(Decoupling), IRA 지원 감축 또는 폐지를 예고한바 글로벌 자동차 산업 환경 재편이 예상된다"며 "관세 인상 등 급격한 통상 정책 변화 시 경영악화, 수출에 어려움이 예상되므로 공급망 및 수출 의존도를 낮추고 다변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미 정부 측에 우리 기업의 미 진출, 투자 확대를 통한 고용과 경제 기여도를 강조하고, 일본·독일 등 주요 대미 흑자국과 협력해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며 "민관은 정보를 수시로 공유하고 미 행정부와 의회 대상 아웃리치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일본, 독일 등 대 미국 자동차 무역수지 흑자를 거두고 있는 국가들과 협력해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저지를 위해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