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트랜시스 노조는 성과금 문제지만, 협력사들에는 생계의 문제입니다.”
한 현대트랜시스 협력사 대표가 경영위기를 호소하며 한 달째 파업을 이어가는 현대트랜시스 노조를 향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매일매일 불안에 떨며 파업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며 협력업체에 근무하는 한 집안의 가장, 아들, 딸인 직원들을 생각해서 파업을 조속히 멈추어 달라”며 생계의 절박함을 호소했다.
7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트랜시스 협력사 직원들은 지난 6일 충남 서산시에서 현대트랜시스 노조의 장기 파업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가졌다. 이날 결의대회는 협력사 직원 300여명이 참석했다.
협력사들은 서산 시내 주요 중심지에서 30일째 지속되는 장기 파업으로 생존의 기로에 놓여 있다. 현재 800여개 협력업체는 납품 차질에 따른 경영 손실과 자금 사정 악화로 회사 폐업 및 도산 우려 등을 겪고 있다.
이들은 노조의 무리한 성과금 요구로 인한 파업의 피해가 고스란히 협력사에게 전가되고 있다며, 파업 중단과 정상화를 촉구했다.
현대트랜시스 노조는 한 달째 전면파업을 진행 중이다. 지난달 8일 현대트랜시스 국내 최대 자동변속기 생산거점인 충남 서산 지곡공장에서 부분파업을 시작했으며, 11일부터는 전면 파업에 돌입했다.
노사는 성과급 규모를 두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지난 6월부터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진행 중으로, 노조는 ▲기본급 15만9800원 인상(정기승급분 제외)과 ▲전년도 매출액의 2% 성과급 지급 등을 요구하며 전면 파업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노조가 요구하는 성과급 규모는 2400억원가량으로, 지난해 영업이익 1169억원의 2배에 달한다. 노조 요구대로라면 회사는 빚을 내서 성과급을 지급해야 한다. 상식 밖의 무리한 요구라는 지적이 나오는 까닭이다.
회사는 지난달 31일 18차 교섭에서 ▲기본급 9만 6000원 인상(정기승급분 포함) ▲경영성과급 및 격려금 400%+1200만원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현대트랜시스 역대 최고 성과급으로, 지난해 영업이익 (1170억원)의 92%에 해당한다.
지속되는 파업으로 서산공장에 자재와 부품을 공급하는 1~3차 중소 협력업체는 납품 차질을 빚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등 완성차공장 역시 생산량 감소 및 공장 가동 중단 등 문제를 겪고 있다.
파업 장기화로 800여 개에 이르는 1~3차 중소협력업체의 가동 중단과 임시 휴업은 불가피하다. 이에 국내 자동차업계의 우려도 확산하고 있다.
이날 참석한 한 협력사 대표는 "납품 중단이 시작되면 협력업체 대표는 직원들의 급여를 구하기 위해 자금을 확보하러 다녀야 한다. 성과급이 아닌 월급, 월세를 구하기 위해 뛰어다녀야 한다"며 "자금을 확보해도 높은 이자로 인한 경영손실은 고스란히 협력업체의 몫이다”라며 협력사들의 자금 악화 상황을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