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기획재정부]
[제공=기획재정부]

정부가 서비스산업의 혁신과 성장을 위한 대규모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업의 규모 확장과 함께 역대 최대 규모인 66조원의 수출금융 지원을 포함하고 있다.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4+1 서비스산업 생산성 혁신 지원방안'이 공개됐다. 이 계획은 2035년까지 한국 산업 내 서비스산업의 부가가치 비중을 70%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는 성장 잠재력이 높은 유망 서비스 부문 중소기업 100곳을 선정해 3년간 최대 7억5000만원의 바우처를 지급하는 도약 프로그램을 시작할 예정이다. 테크 서비스 분야를 '혁신성장 공동기준'에 반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데이터 산업 육성을 위해 내년부터 의료·통신 분야를 시작으로 모든 분야에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의 확대와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한 수도권 실증도 추진된다.

제조업과 연계한 서비스산업 육성도 이번 대책의 주요 내용이다. 방산·조선·원전·항공 등 주력 제조업의 유지·보수·정비(MRO) 시장을 적극 육성하고 제조 과정 전반에 걸쳐 연구개발과 디자인 등 서비스 투입을 확대할 예정이다.

숙박업 분야에서는 2029년까지 2조5000억원 규모의 우대금융을 제공해 대형 브랜드호텔 공급을 확대하고 노인복지 서비스 분야에서는 도심지 인근 노인요양시설 공급 확대를 유도할 계획이다.

서비스 수출 활성화를 위해 2029년까지 총 66조원 규모의 수출 금융을 지원하며 다자개발은행(MDB)의 조달시장 진출 지원과 테크 서비스기업 전용 수출바우처 트랙 신설도 추진된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