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자사주를 대거 소각키로 결정하면서 최대 주주 삼성생명과 화재는 전자 보유지분 강제 매각절차를 밟게 됐다.
삼성전자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큰 결단을 내렸지만 금산분리의 벽에 막혀 추가적인 주가 상승동력이 막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10조원 규모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발표로 최근 삼성생명과 삼성화재 주가가 급등했다.
삼성전자가 자사주를 소각하면 지분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으로 3분기 말 기준 삼성전자의 최대 주주는 삼성생명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생명의 삼성전자 보유 지분률은 8.51%로 집계됐고, 삼성화재는 1.49%를 보유 중이다.
삼성전자의 주식 소각 결정에 따른 보유 지분가치 상승과 주가 급등이 삼성생명과 화재 입장에서는 마냥 호재일 수 없다.
두 회사의 지분은 10%로 '금산분리(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분리)' 제도상 한도를 모두 채운 상태다. 결국 삼성전자가 자사주를 소각하면 지분율은 다시 높아져 주식을 강제로 팔아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된 것이다.
삼성생명과 화재의 최근 주가 급등도 삼성전자 강제 지분 매각을 통해 최대 9000억원 규모의 현금이 생길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었다.
지난 2018년 삼성전자가 자사주 취득한 이후 삼성생명·화재가 삼성전자 지분을 매각한 사례가 있다.
삼성전자가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1년 내 마무리 한다고 발표한 것을 감안하면 삼성생명·화재도 이르면 내년 안에 삼성전자 지분을 매각해야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금산분리 정책이 정부가 추진하는 밸류업 프로그램과 역행한다는 문제가 다시 수면위로 드러나게 됐다.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과 소각 역시 주가 부양 차원에서 실시한 특단의 조치지만 역설적으로 최대주주들이 다시 주식을 대거 매각해야 하기 때문에 주가가 힘을 받기에 한계가 있다.
현재 한국의 금산분리 제도는 산업자본이 금융을 소유하는 것을 철저히 막고 있다. 반대로 금융회사의 산업자본 소유에 대한 문턱을 낮추기 위한 노력은 진행 중이지만 본질적인 금산분리 제도가 개선되지 않는 이상 삼성전자 발 기현상은 앞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새로운 경제환경에 적응하고 신사업 활성화를 위해 금산분리 완화 목소리가 꾸준히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벽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