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픽사베이]](https://cdn.ebn.co.kr/news/photo/202501/1648713_660979_476.jpg)
정부가 전기차와 이차전지 산업의 성장 정체와 글로벌 대외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 지원책을 내놨다.
15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조정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친환경차·이차전지 경쟁력 강화 방안'이 발표됐다.
정부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차(레벨4) 상용화를 목표로 올해 상반기 중 범부처 자율주행 통합 기술 로드맵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내년까지 자율주행과 자동차 제어기능을 통합한 차세대 자동차 플랫폼 개발에 착수한다.
전고체 배터리, 리튬 메탈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해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고 희토류 함량을 줄인 모터 개발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올해 전기차 핵심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에 4,3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정부는 글로벌 대외 불확실성, 특히 출범 예정인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현지 아웃리치 활동을 강화할 방침이다. 미국 주요 지역 주지사 및 의원들에게 한국 기업의 경제 기여와 기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또한 자유무역협정(FTA) 협상과 공적개발원조(ODA) 등을 활용해 신흥시장 진출 기반을 확대하고, 해외 완성차 기업과 제휴를 통해 국내 부품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편입도 돕는다.
정부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 대비 고가 소재 함량을 줄인 미드니켈 배터리, 리튬인산철(LFP)보다 저렴한 나트륨 배터리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2028년까지 미국 커넥티드카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 보안 기술 개발과 검증 기반 강화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와 민간의 긴밀한 협력 아래 추진되는 이번 대책이 친환경차와 이차전지 산업의 캐즘 극복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디딤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