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제공=연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제공=연합]

아시아 주요 6개국이 중국을 대신할 생산·투자 거점으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출범을 앞두고 강화된 고관세와 중국 우회수출 규제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코트라)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미국 신정부 출범 계기 아시아 주요국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에는 한국의 주요 교역국인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인도 △일본 등 아시아 6개국의 산업 현황과 국내 기업의 진출 기회 등에 대한 분석이 담겼다.

보고서에 의하면 아시아 6개국은 미국 신정부의 보편관세 부과 여부에 가장 예의주시하고 있다. 각국의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아 경제적 영향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2023년 기준 미국은 베트남·태국·인도·일본의 제1대 수출 대상국이다. 인니의 경우는 2대, 말레이시아에서는 3대 수출 대상국이다.

현재 미국은 중국이 제3국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하는 이른바 '우회수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중국 기업들의 투자가 늘어난 동남아와 인도는 특히 우려가 깊다. 각국은 자국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협력 기회를 발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베트남과 말레이시아는 첨단산업 도약에 나섰다. 베트남은 엔비디아와의 인공지능(AI) 연구개발 센터 설립, 스페이스엑스와의 위성통신 개발 협력 등 첨단 산업 분야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어 기술 협력 수요가 확대될 전망이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공급망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현지 부품 사용 기업에 대한 관세 혜택 확대로 현지 진출 여건을 개선하고 있다.

인니와 태국은 청정에너지·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낸다. 인니는 청정에너지 분야 외국인 투자 유치를 적극 추진 중이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태국은 디지털 경제의 지역 허브를 목표로 클라우드, AI 등 첨단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어 디지털 전환 관련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분석된다.

인도와 일본은 제조업 강화, 산업외교를 추진 중이다. 인도는 보편관세 부과 가능성에도 미국 신정부의 출범을 새로운 기회로 평가했다. 중국의 뒤를 이어 글로벌 제조업의 새로운 허브 역할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일본은 자동차 산업에 대한 영향이 우려되지만, 조기 정상회담 추진 등 외교적 해법 모색을 도모하고 있다. 도요타 등 주요기업도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신중한 접근에 나선 상태다.

산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의 여파로 인해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공급망 재편을 고려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들 국가는 투자 유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지형 코트라 경제통상협력본부장은 "미국 신정부 출범으로 인한 아시아 시장의 변화는 우리 기업에 새로운 진출 전략을 요구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이 현지 기술 협력 강화 및 가치사슬 참여 확대, 신성장 분야 선제적 진출 등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