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감 및 외래진료를 받으려는 어린이와 보호자들이 대기하고 있다. [제공=연합]](https://cdn.ebn.co.kr/news/photo/202501/1648815_661103_258.png)
오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설 연휴가 6일로 늘어난 만큼 의료 서비스 공백 최소화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독감 등 호흡기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면밀한 대책 마련이 중요한 상황이다.
정부와 국민의힘은 16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설 연휴 의료 대책에 합의했다. 당정은 오는 22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2주간을 '설명절 비상응급 대응 주간'으로 지정하고,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강도 높은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주요 대책으로는 연휴 기간 문을 여는 병원과 약국을 최대한 늘리고, 전국 413개 응급실에 보건복지부·행정안전부·지자체 담당자를 일대일로 매칭해 운영 상황을 모니터링하기로 했다. 또한 응급실의 야간·휴일 배후진료 수가를 현행 200%에서 300%로 인상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브리핑에서 "당정은 이번 연휴와 그 이후에도 안정적 의료서비스 제공이 이뤄지도록 인적·물적 지원을 지속해서 추진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말했다.
호흡기 질환자 증가에 대비해 발열 클리닉 115곳과 협력병원 197곳을 통해 집중 진료를 실시하고, 소아 진료를 위해 달빛어린이병원 103곳, 아동병원 114곳 등의 야간·휴일 운영을 독려할 방침이다.
인플루엔자 등 호흡기 감염병 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을 구성하고, 65세 이상·임신부·어린이 대상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지원을 계속하기로 했다. 타미플루 등 치료제의 재고 물량 모니터링과 정부 비축분 활용도 적극 검토할 예정이다.
이번 대책을 통해 정부와 여당은 설 연휴 기간 국민들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응급의료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실제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