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진영이 바이든 행정부의 산업 정책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반도체 보조금과 관세 정책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3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산업·무역 정책을 총괄할 것으로 예상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최근 상원 인사청문회에서 주목할 만한 발언을 했다. 그는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계약 이행 여부에 대해 "말할 수 없다"며 모호한 입장을 취했다.

러트닉 지명자는 "일본의 철강, 한국의 가전 같은 경우 그들은 우리를 그저 이용했다"며 "이제는 그들이 우리와 협력해 그 생산을 다시 미국으로 가져올 때"라고 강조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 기업들에 대해 미국 내 생산을 강력히 요구할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의 주요 반도체 기업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들 기업은 미국 정부로부터 수조 원 규모의 보조금을 약속받고 대규모 투자를 계획했기 때문이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보조금이 줄어들면 공장 착공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면서도 "이는 TSMC 등 다른 국가의 기업도 마찬가지고, 모든 기업의 생산이 지연되면 미국 입장에서도 손해"라고 분석했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보조금 지급이 중단되면 기대했던 비용 절감 효과가 사라질 수 있다"며 "향후 투자 규모 조정 등에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큰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도 한국 기업들에게 부담이 될 전망이다. 트럼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고율 관세를 무기로 외국 기업들의 미국 내 투자를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

LG전자 김창태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은 "아직 트럼프 행정부의 구체적인 관세 정책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잠재적인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을 수립 중"이라고 밝혔다.

멕시코에 생산 기지를 둔 한국 기업들도 비상이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삼성전자, LG전자, 기아 등 현지 공장을 운영 중인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재집권으로 예상했던 시나리오"라며 "관세 부과는 기본적으로 기업이 아닌 교역국에 대한 압박이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준비한 대로 대응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