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
[출처=연합]

국내 경제학자들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정부가 예측한 수치보다 낮게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특히 상당 기간 동안의 성장 정체와 산업경쟁력 약화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국내 대학 경제학과 교수 100명을 대상으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자들은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평균 1.6%로 추정했는데, 이는 정부의 공식 전망치인 1.8%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조사에서는 향후 성장 전망에 대해 응답자의 64%가 '상당 기간 성장 정체'를 예상했다고 답했다. 반면 '일정 기간 하락 후 완만한 회복'을 전망한 응답자는 35%였으며, 가파른 성장을 예견한 의견은 전무했다.

산업경쟁력에 대한 평가에서도 비관적이라는 응답이 과반수인 56%를 기록했으며, 낙관적인 견해는 단지 9%에 불과했다. 또한 미국 트럼프 행정부 정책이 보호무역 강화 등으로 한국의 수출 의존적 구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 응답자가 무려 83%에 달했다. 긍정적인 영향을 예상한 비율은 단지 8%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한 정책 방향도 제시됐다. 산업 구조개혁 촉진, 노동시장 선진화, 기업 규제 개선 필요성을 지적한 응답이 모두 90%를 넘어섰다. 법인세 최고세율(24%) 및 상속세 최고세율(60%) 인하를 통해 자본 유입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각각 65%, 76%로 집계됐다.

원·달러 환율은 올해 내내 1364~1512원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측됐으며 기준 금리는 연말까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크다는 견해가 많았다(76%). 가장 많은 응답자가 기준 금리를 연말 기준으로 약 2.5~3.0% 사이로 예상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