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연합뉴스]](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0694_663162_837.jpg)
미중 무역전쟁 여파 속에서 중국 규제 당국이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를 진행하는 가운데, 애플에 대한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30%에 달하는 수수료 부과, 외부 결제 서비스 제한 등 앱스토어 정책과 관련해 반독점법 위반 혐의를 검토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중국 당국이 애플 임원과 앱 개발자 등과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애플의 아이폰은 대부분 중국 내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중국은 미국에 이은 애플의 최대 시장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수년간 중국 내 스마트폰 판매 1위를 지켜왔던 애플은 지난해 국내 경쟁사인 비보와 화웨이에 밀려 3위로 떨어지는 등 시장 점유율에 타격을 입은 상황이다.
SAMR은 전날 세계 최대 검색엔진 기업인 미국의 구글에 대해서도 반독점법 위반 혐의 조사를 착수했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미국이 중국에 추가 10% 관세를 부과한 데 따른 보복 차원의 대응으로 평가된다. 중국 정부는 석탄·석유 등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10∼1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텅스텐 등 원료 수출 통제를 강화하는 등 추가 제재 조치를 예고한 바 있다.
또한 파이낸셜타임스는 SAMR이 인텔에 대한 조사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전하며, 지난해 12월 인공지능(AI) 선두주자인 엔비디아에 대해서도 반독점 조사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본격화될 기로에 서 있는 가운데,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수일 내로 통화할 것으로 알려져, 양국 간 갈등 해소를 위한 고위급 대화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애플 관련 조사 검토 소식은 미중 무역 분쟁이 빚어낸 경제·기술 분야 긴장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글로벌 IT 및 무역 시장에 미칠 파장이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