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현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출처=EBN 김채린 기자]
김두현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출처=EBN 김채린 기자]

한국의 인공지능(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이른바 'AI 추격조'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6일 국가AI위원회에 소속된 김두현 건국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서울 중구 국가AI위원회에서 열린 '국내 AI 산업 경쟁력 진단 및 점검 회의'에 참석해 "정부 차원에서 오픈AI, 딥시크 급으로 성장 가능한 추격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간 정부의 AI 정책은 지원책이었다"면서 "'많이 지원하면 스타 1개가 탄생하겠지'라는 생각이었지만, 우리가 안 해본 전략인 추격조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딥시크의 시사점으로는 3가지를 꼽았다. 김두현 교수는 "딥시크는 오픈AI가 넘사벽은 아니라는 점, 즉 유일한 솔루션이 아니라는 것을 알렸고 금액도 싸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알렸다"며 "중요한 점은 오픈소스를 통해 순식간에 생태계에서 주도권을 확보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김 교수는 "오픈소스를 통해 딥시크는 순식간에 주도권을 잡았고, 실제로 많은 회사들이 자사 위에 해당 서비스를 얹고 호스팅 하기 시작했다"면서 "이런 관점에서 국가적으로 추격조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격조는 국가AI위원회 산하에 둬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 교수는 "현재 있는 정부 기관에 추격조를 둘 경우, 제도에 묶일 것"이라며 "국가AI위원회 산하에 두고 파격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공격적인 움직임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