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엔비디아]
[출처=엔비디아]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비용·고성능 AI 모델에 대한 충격이 완화되자 서학개미들이 엔비디아, 테슬라 등 미국 빅테크 주식 매수에 나섰다. 

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주(1월 30일∼2월 6일) 국내 투자자가 가장 많이 사들인 해외 주식은 엔비디아와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ETF(상장지수펀드)'로 순매수액이 각각 2억9700만달러, 2억6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디렉시온 반도체 ETF는 미국 반도체 지수를 3배로 증폭해 추종하는 고위험 상품이다.

순매수액 3위는 테슬라(2억1900만달러), 4위는 엔비디아를 2배로 추종하는 펀드인 '그레나이트셰어즈 2.0X 롱 NVDA 데일리 ETF'(1억7200만달러)였다.

엔비디아, 디렉시온 ETF, 그레나이트셰어즈 ETF 등 미국 반도체 관련 3개 종목의 순매수액은 총 7억3000만달러로 한화로는 1조500억원에 달한다.

딥시크는 저비용·고성능 AI를 오픈소스로 공개하며 세간에 충격을 안았다. 딥시크가 개발한 추론형 AI 'R1'은 일부 성능 테스트에서 오픈 AI가 지난해 9월 출시한 'o1'을 뛰어넘었다. 게다가 딥시크는 AI 개발에 오픈 AI보다 훨씬 적은 비용을 지출했다고 밝혔다. 

이에 AI 개발 비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그래픽처리장치(GPU)와 고성능 메모리 등 AI 하드웨어가 과잉 투자 상태가 아니냐는 우려가 증폭하면서 반도체 종목이 직격탄을 맞았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27일 하루에만 주가가 17% 급락해 시가총액 846조원이 증발했다. 국내 증시에서도 설 연휴가 끝난 직후인 같은 달 31일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주가가 하락하며 증시 전체를 끌어내렸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정반대 전망이 부상했다. 딥시크가 오픈소스 및 가성비 AI 보급을 촉진해 AI업계의 연구개발(R&D) 경쟁을 촉발해 AI 하드웨어 수요가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AI 학습에는 GPU는 물론 첨단 반도체가 필요하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딥시크와 같은 '가성비 AI'의 출현은 AI 생태계 확장으로 이어져 GPU 수요 기반이 동시에 확장될 수 있다"며 현 딥시크 국면이 오히려 반도체 주식을 저가매수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