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3사 [출처=각 사]](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2048_664634_619.jpeg)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으로 전기차·이차전지 보조금 축소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 중인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부진이 예상되고 있다.
18일 나이스신용평가의 '미국의 이차전지산업 정책변화 방향과 그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축소할 경우, 전기차 판매 둔화와 이차전지 수요 감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전기차 구매 보조금 폐지를 검토할 것을 지시했는데, 대당 7500달러의 소비자 보조금의 유무는 전기차 가격 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 독일에서도 정부 보조금 축소 이후 전기차 판매량이 급감한 바 있다. 한 연구보고서는 IRA(인플레이션 감축법)법안 폐지에 따른 보조금이 사라지면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최대 27%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는 미국 내 공장 생산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수십조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 상태다.
현재 LG엔솔은 제너럴모터스(GM), 현대자동차, 혼다 등과 협력하며 테네시·애리조나·미시간 등에 총 7개 공장을 가동하거나 건설 중이며, SK온은 미국 포드와 함께 '블루오벌SK' 합작법인을 설립해 공장을 짓고 있다. 삼성SDI는 지난해 8월 GM과 35억 달러(5조1065억원)를 투자해 미국 인디애나주에 배터리 합작공장을 건설하고 2027년부터 각형 배터리를 생산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미국 전기차 시장이 기대 만큼 성장하지 못하거나 위축될 경우, 높은 고정비 부담 속 적정 가동률을 확보하지 못해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보고서 분석이다.
![[출처=나이스신용평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2048_664635_1046.png)
![[출처=나이스신용평가]](https://cdn.ebn.co.kr/news/photo/202502/1652048_664636_1155.png)
특히 미국 대형 자동차 제조 3사 제네럴모터스(GM)·포드(Ford)·스텔란티스(Stellantis) 등 미국 완성차 업체에 대한 납품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전기차 보조금 폐지 영향을 글로벌 경쟁사보다 더 크게 받을 전망이다.
보고서에 의하면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영업실적은 북미와 유럽 등 비중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 수준에 의해 결정돼 왔다. 북미 비중은 30~50% 수준에 달한다.
트럼프 정부가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정책은 △전기차 구매 보조금 축소 △이차전지 생산 보조금 축소 △자동차 환경(연비) 규제 완화 등이다. 이는 모두 전기차와 이차전지 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생산세액공제(AMPC)로 수익성을 지탱해줬던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지·축소 우려가 현실화할 경우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보조금이 줄어들면 전기차 제조사, 배터리 기업, 소비자 중 누군가는 늘어난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데, 전기차 가격을 인상하면 판매량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또 내연기관차 대비 채산성이 낮은 전기차의 특성상, 완성차 업체들이 부품 가격을 쉽게 인상하기 어려운 구조"라며 "결국 보조금 축소에 따른 부담은 배터리 기업들이 지게 될 가능성이 높아, 주요 셀 제조사들의 영업 실적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에서의 IRA AMPC 세액공제 수혜 효과가 국내 기업들의 저하된 수익성을 상당부분 보완하고 있으며, 트럼프 정부가 AMPC를 폐지하거나 축소할 경우 이익창출력이 가장 우수한 LG엔솔 조차도 중단기적으로 영업적자 전환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 봤다.
한편 국내 배터리 제조사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배터리 3사는 유럽과 아시아 시장 확대를 통해 미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을 통한 원가 절감에 주력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 완성차 업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해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를 분산하고, 현지 정부 및 의회와의 협의를 통해 세제 혜택 축소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전략도 병행한다는 구상이다.
- 현대차, ‘제로원 액셀러레이터’ 모집… "우수 스타트업 발굴"
- 알랭 파베이 푸조 신임 CEO "유럽 전기차 리더 도약”
- SK가스, 美 텍사스 ESS 프로젝트 운전 개시…"전력거래 사업 본격화"
- 대한상의 경제사절단, 트럼프 행정부 만난다…對美 통상 외교 본격화
- 정부·항공사, '항공안전 강화' 노력…비행기 공포 완화한다
- "트럼프 2기 출범 등 변곡점에도 ESG 기조 지속…통상 파고 넘어야"
- 국내 항공기, 보조배터리·전자담배 기내 보관 규정 강화…3월 1일부터 시행
- 작년 K-배터리, 점유율 43.5%…전년比 5% 하락
- 중견기업 3곳 중 1곳 “중국시장 관세·비관세 장벽 여전"
- 삼성SDI, 전기차 배터리 화재 방지 ‘No-TP’ 기술 개발
- LG에너지솔루션 "하반기 美 공장서 ESS용 LFP 배터리 생산"
- [인터배터리 ‘25] LG엔솔 "차세대 원통형 46시리즈 전격 공개"
- [현장] 정경환 LG엔솔 상무 "'캐즘' 돌파 전략…원가 혁신·포트폴리오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