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항공기 BX391편 내부에서 불이 나 소방대원들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출처=연합]
에어부산 항공기 BX391편 내부에서 불이 나 소방대원들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출처=연합]

 

국토교통부와 항공사가 항공안전 강화를 위해 머리를 맞댔다. 최근 연이은 항공 사고로 떨어진 항공안전 시스템의 신뢰를 회복하고 국민들의 불안감을 최소화한다는 의도다.

17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토부와 국내 항공사는 항공안전 전반에 대한 근본적인 쇄신책 마련에 나선다. 항공안전 혁신위원회 구성, 항공 안전 강화 결의대회, 보조배터리 표준안 등 다양한 활동을 재개한다.

우선 항공안전 혁신위원회는 국내 공항과 항공사 등 항공 안전체계를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는 민간 전문가 20여 명이 ‘항공운항 안전 분과’와 ‘공항시설 개선 분과’로 나눠 활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저비용 항공사(LCC)의 정비역량 제고 및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등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수습 과정에서 주로 지적된 사항을 다룬다.

또한 항공사의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 강화,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내실화, 공항 건설·운영규정 개정, 공항운영증명 및 운영검사 내실화 등 항공 안전체계 쇄신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한다. 이후 오는 4월 초 공청회를 개최해 항공안전 전반에 대한 근본적인 쇄신책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1일에는 박상우 국토부 장관과 채연석 항공안전혁신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해 국내 11곳 항공사 대표들이 ‘항공안전 강화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날 결의문에는 안전을 위해 조종사, 정비사 등 전문인력의 신규 충원을 신속히 추진하고, 운항 전 지상에서 충분한 정비시간을 확보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보조배터리 안전관리 체계도 강화된다. 3월부터 시행되는 표준안에 따르면, 100Wh 이하 제품은 최대 5개까지, 100~160Wh 제품은 2개까지 항공기 반입이 가능하다. 160Wh를 초과하는 캠핑용 배터리는 기내 반입이 금지된다.

또한, 전자담배로 인한 기내 화재사고 증가 추세를 반영해 전자담배 안전관리도 강화된다. 보조배터리와 전자담배는 승객이 몸에 소지하거나 좌석 주머니에 보관해야 하며, 기내 선반 보관은 금지된다.

업계는 정부의 항공안전에 대해 공감하면서 안전 대책이 수립되면 이를 철저히 수행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겠다는 계획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항공기 사고가 연달아 일어나면서 LCC 선호도가 낮아지고 있다”며 “소비지들의 신뢰 회복을 위해 정비부터 기내 안전까지 항공안전을 위해 정부와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