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항공기[출처=에어부산]
에어부산 항공기[출처=에어부산]

에어부산이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를 단행한다. 

에어부산은 오는 7일부터 휴대 수하물 내 보조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하는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정책’을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일부 노선에 시범 운영을 거친 후 전 노선으로 확대 운영한다.

우선 휴대 수하물 내 보조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한다. 에어부산은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내 배터리 소지 유무를 사전 확인하고, 기내에서는 탑승구에서 확인을 완료한 수하물만 선반에 보관될 수 있도록 통제를 강화한다.

탑승구에서 휴대 수하물 내 배터리가 있는지를 점검해 스티커나 택(TAG) 등의 별도 표식을 부착하고 기내에서는 표식이 부착된 수하물만 선반 보관이 가능하도록 허용한다. 오는 7일부터 일부 노선에 시범 운영을 거친 후 전 노선으로 확대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출처= ]
에어부산 'NO BATTERY INSIDE' 스티커 및 택 이미지[출처=에어부산]

또한 예약·발권 및 탑승수속 단계에서 보조배터리 기내 선반 탑재 금지에 대한 동의 절차를 시행하고, 출발 1일 전 예약 고객에게 별도의 안내 문자를 발송하는 등 대고객 안내를 강화한다. 기내 안내 방송도 기존 2회에서 3회로 확대된다.

객실승무원의 화재 대응 훈련도 대폭 강화한다. 교육용 화재진압 시범 동영상을 제작해 전 승무원을 대상으로 즉시 교육을 실시하고, 화재 단계를 고려한 상황별 모의 훈련도 진행한다. 사옥 내 화재진압 훈련시설 개선과 지역 소방본부 등 전문기관 교육 이수를 통해 전문성을 높일 계획이다.

더불어 배터리 화재 발생 시 열폭주 및 폭발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비(Lithium battery fire containment pouch)도 구매해 항공기에 자체 구비할 예정이다. 승무원의 즉각적인 화재진압을 돕기 위해 방화 장갑을 기내에 추가 구비한다. 

정병섭 에어부산 대표이사는 “기내 화재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와 불안을 해소하고 안전한 여행 환경을 확보하기 위해 에어부산이 선제적으로 강화 정책을 수립하게 됐다”며 “사내 종사자들의 안전의식 고취와 역량 강화를 비롯해 항공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비엔(EBN)뉴스센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