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글로벌 '저탄소 철강 표준' 논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철강업계와 머리를 맞댔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철강협회에서 민관 합동 국내 작업반 회의를 열고, 다가오는 기후클럽(Climate Club) 회의에서 논의될 저탄소 철강 기준에 대한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탄소중립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글로벌 탈탄소 정책에 적극 참여해 왔다. 특히 G7을 포함한 43개국이 참여하는 다자 협의체인 기후클럽의 초대 운영위원국으로 활동하며 국내 철강업계의 이해관계가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저탄소 철강 생산 기준 ▲국내 제품의 수출 경쟁력 강화 ▲국내 제도와 국제 기준 간 정합성 확보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또한 기후클럽이 국제에너지기구(IEA)와 공동으로 준비 중인 '철강·시멘트의 저탄소 전환을 위한 정책 보고서'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다.
최근 미국이 파리협정에서 탈퇴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망 내 저탄소 철강 구매 요건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철강업계가 글로벌 저탄소 철강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과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산업부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국내 철강업계가 글로벌 저탄소 철강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오는 3월 27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기후클럽 총회 등 향후 논의 과정에서 국내 철강업계의 입장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